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노인일자리사업이 노인가구의 경제적 생활수준에 미치는 영향 분석: 소득과 소비 변화를 중심으로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Senior Employment Program on the Economic Living Conditions of Senior Households: With Focus on Changes in Income and Consumption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Senior Employment Program on the Economic Living Conditions of Senior Households: With Focus on Changes in Income and Consumption
Authors
이지혜[이지혜]황남희[황남희]
Issue Date
2019
Keywords
Senior Employment Programs; Policy Evaluation; Random Effect Model; Multinominal Logit Model; 노인일자리사업; 정책평가; 확률효과모형; 다항로짓모형
Citation
보건사회연구, v.39, no.1, pp.11 - 38
Indexed
KCI
Journal Title
보건사회연구
Volume
39
Number
1
Start Page
11
End Page
3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12802
DOI
10.15709/hswr.2019.39.1.11
ISSN
1226-072X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제7~12차 자료를 활용해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한 지속적 참여가 노인가구의 소득, 소비, 경제적 지위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그 결과 최근 5년간 노인일자리사업에 지속적으로 참여했음에도 불구하고 가구의 근로소득, 소비지출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상소득의 경우 오히려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일자리사업의 지속 참여가 노인가구의 경제적 지위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추가적으로 살펴본 결과, 노인일자리사업의 지속 참여가 경제적 상태를 개선시키지는 못하지만 경제적 지위가 악화될 가능성은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일자리사업은 다양한 정책목표를 가진 사업이기는 하지만 참여 노인들의 가장 큰 목적은 경제적 이유라는 점과 노인 빈곤 문제가 주요 사회문제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노인일자리사업의 경제적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사업 방향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하겠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conomics > Department of Economic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