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노동법을 보완하는 노동조례의 사례와 특성Examples and Characteristics of Labor Ordinances Complementing Labor Law

Other Titles
Examples and Characteristics of Labor Ordinances Complementing Labor Law
Authors
오효진[오효진]
Issue Date
2019
Keywords
생활임금 조례; 노동이사제 조례; 프리랜서 조례; 노동인권교육 조례; 노동법의 위기; living wage ordinance; employee directors ordinance; freelance ordinance;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ordinance; the crisis of labor law
Citation
GRI연구논총, v.21, no.4, pp.229 - 256
Indexed
KCI
Journal Title
GRI연구논총
Volume
21
Number
4
Start Page
229
End Page
25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12807
ISSN
2005-8349
Abstract
노동법은 근대 시민법 원리를 수정해 노동자와 사용자 간 대등한 힘의 균형을 보장함으로써 노동자의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하는 역할을 수행해 왔다. 그러나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확산 그리고 기술발전 등은 노동법의 노동자 보호체계에한계가 있음을 드러냈고 노동법의 역할에 대한 회의를 낳았다. 본 연구는 최근에 노동법이 겪고 있는 위기와 관련한 경제사회적 상황을 반영해 제정된 노동조례의 사례와 특성을 분석해 노동조례가 노동법을 보완하는 대안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먼저, 유사 선행연구의 내용을 분석한 후 생활임금 조례, 노동이사제 조례, 프리랜서 조례, 노동인권교육 조례를 각각 입법 취지와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이어서 노동조례가 법률에 비해 신속한 입법과 적용이 가능하고, 노동자 보호 수준의 향상을 담보하며,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입법 시도를 할 수 있고, 노동자나 시민사회의 참여를 통한 참여민주주의의 실질적 구현에기여함으로써 노동법 보완에 적합한 특성을 지녔음을 제시한다. 이 후 그 적용대상이 제한되고, 민간부문에 대한 구속력 확보에 어려움이 있으며, 안정성 및 체계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한계적 특성을 지적하고, 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한다. 결론에서는 노동조례가 그 한계에도 불구하고 노동법의 위기에 대한 보완적 대안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지역 노동자와 시민단체의 역할과 연대를 통한 적극적 입법 활동을 도모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Law School > Law School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