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근로 시각장애인의 업무 만족도, 여가 참여가 장애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The Mediator Role of Self Esteem in the Pathways from Job Satisfaction and Leisure Activities to Acceptance of Disability in Workers with Visual Impairment

Other Titles
The Mediator Role of Self Esteem in the Pathways from Job Satisfaction and Leisure Activities to Acceptance of Disability in Workers with Visual Impairment
Authors
김상원[김상원]이양희[이양희]조준동[조준동]유한별[유한별]엄문설[엄문설]오혜민[오혜민]
Issue Date
2019
Publisher
한국장애인복지학회
Keywords
근로 시각장애인; 업무 만족도; 여가 참여; 장애 수용도; 자아존중감; Workers with visual impairment; Job Satisfaction; Leisure activities; Acceptance of Disability; Self Esteem
Citation
한국장애인복지학, v.43, no.43, pp.133 - 155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장애인복지학
Volume
43
Number
43
Start Page
133
End Page
15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12841
DOI
10.22779/kadw.2019.43.43.133
ISSN
1738-5806
Abstract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업무 만족도, 여가 참여, 자아존중감, 그리고 장애 수용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고, 업무 만족도 및 여가 참여와 장애 수용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역할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6년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 1차 조사 데이터 중 시각장애가 주된 장애 유형이며 현재 일을 한다고 답한 330명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시각장애인이 경험하는 업무 만족도는 장애 수용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존중감을 통해서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시각장애인의 여가활동 참여는 장애 수용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않았지만, 자아존중감을 통해 장애 수용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일과 여가 영역에서 시각장애인의 장애 수용도를 높이기 위한 실천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School of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ing > 1. Journal Articles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Child Psychology and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