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공공도서관 통합 브랜드 아이덴티티 개발연구 - 가평군 4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dentity for Integrated Public Libraries - Focused on four public libraries in Gapyeong-County -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dentity for Integrated Public Libraries - Focused on four public libraries in Gapyeong-County -
Authors
강도은[강도은]김면[김면]
Issue Date
2019
Publisher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Keywords
Integrated brand identity; Flexible Identity; Gapyeong; Gyeonggi Province; Local Government; Library Branding; Public Library Brand; Public Design; Brand Strategy; Brand Positioning; 통합 브랜드 아이덴티티;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경기도 가평; 지방자치단체; 도서관 브랜딩; 공공도서관 브랜드; 공공디자인; 브랜드 전략; 브랜드 포지셔닝
Citation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v.66, pp.61 - 74
Indexed
KCI
Journal Title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Volume
66
Start Page
61
End Page
7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12908
ISSN
1976-1562
Abstract
현재 도시는 단순한 행정구역의 의미를 넘어 하나의 도시 브랜드로서 세계의 도시들과 경쟁을 해야 하는 시대로 접어들었다.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고 있는 공공도서관 또한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이제는 문화와 휴식이 있는 문화공간으로 탈바꿈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들의 라이프스타일(Lifestyle)과 니즈(Needs)가 변화하게 되면서 체계적인 브랜드의 구축 및 관리가 요구 되고, 차별화된 브랜드 경험을 기대하게 되었다. 하지만 경기도 가평군에 건립된 4개 공공도서관은 건립년도에 따른 건축 설계 및 시공방식에 따라 건물의 외형과 인테리어의 전체적인 이미지가 일관성(consistency)을 가지지 못하고 지역의 작은 도서관으로 인식되어 사용자 또한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또한 각 도서관의 브랜드 체계가 무너지고 기능이 거의 상실되어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여 체계적인 브랜드 구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기적인 관점으로 접근하여 지속가능한 ‘통합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고자 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다시 말해 통합 브랜드 전략을 통해 4개 도서관의 단일화(unification) 된 이미지를 정립하여 지역의 작은 도서관 이미지를 탈피하고 브랜드의 수명과 질을 높이고자 한다. 이는 브랜드의 노출빈도를 극대화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규모와 영향력을 점차적으로 확대하고 재정적인 효율 및 예산절감의 효과와 관리적인 측면에서도 큰 이점을 가질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rt > Department of Desig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