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전통 연행예술 판의 현대적 의의와 체험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The modern significance of the traditional art Pan an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experiential contents

Other Titles
The modern significance of the traditional art Pan an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experiential contents
Authors
임형택[임형택]
Issue Date
2019
Publisher
인문콘텐츠학회
Keywords
기술혁명시대; 4차 산업혁명; 인간; 소통; 판소리; 전통 소리판; 인문학; 미디어; 플랫폼; 실재; 현장; 참여; The Age Of Technology Revoluti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uman; Communication; Pansori; Traditional Soripan; Humanities; Media; Platform; Reality; Field; Participation
Citation
인문콘텐츠, no.53, pp.265 - 281
Indexed
KCI
Journal Title
인문콘텐츠
Number
53
Start Page
265
End Page
28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14306
ISSN
1975-4469
Abstract
오늘날은 기술혁명시대이다. 최근 운위되는 4차 산업혁명은 디지털의 권능을 기반으로 인간을 포함한 모든 요소를 기계적 질서에 재배치함으로써 효율과 이익을 극대화한다는 것이다. 이는 미디어–테크놀로지에 의한 초연결성(超連結性)을 근간으로 한다. 그러므로 커뮤니케이션 환경이 매우 우수해졌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인간 입장에서 소통의 질과 능력은 오히려 퇴보됐다. 실재와 현장 중심의 소통이 감소됨으로써 심성과 관계가 퇴행할 것이며, 간접적인 소통과 관계로 인해 감각 및 사고 능력이 저하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한 인간 중심의 대책과 방안이 요청된다고 하겠으니 이 글은 인문예술학적 입장에서 오늘날 소통의 문제를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견지에서 Ⅰ장에서는 전통 소리판 소통 원리가 이 시대에 긴요함을 주장하였고, Ⅱ~Ⅳ장에서는 오늘날의 소통 문제를 다각적으로 분석하였으며, Ⅴ장에서는 앞선 논의의 결론과 대안으로서 가칭 ‘판소리 소통 문화원’ 설립의 필요성과 목적을 제시하고 그 구상의 밑그림을 소묘해보았다. 이 글을 이어서 전문적・실무적인 논의가 계속됨으로써 판소리와 전통 소리판의 체험 문화가 이 시대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크게 기여하는 날이 오기를 염원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Liberal Art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