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디지털시대의 문화예술콘텐츠 플랫폼에 관한 연구 - 구글 아트앤컬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latform of Arts and Cultural Contents in the Digital Era - focused on Google Arts & Culture -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latform of Arts and Cultural Contents in the Digital Era - focused on Google Arts & Culture -
Authors
최정은[최정은]김면[김면]
Issue Date
2019
Publisher
한국기초조형학회
Keywords
플랫폼; 문화예술콘텐츠; 원천콘텐츠; 구글; 아트앤컬처; platform; arts and cultural; contents; original content; google; arts & culture
Citation
기초조형학연구, v.20, no.3, pp.433 - 446
Indexed
KCI
Journal Title
기초조형학연구
Volume
20
Number
3
Start Page
433
End Page
44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14370
ISSN
1598-8635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롭게 진화하는 디지털 시대에 문화예술콘텐츠 플랫폼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 활용 가능성과 기반을 확대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2011년 공식 론칭하여 현재 1000개 이상의 전 세계 문화예술기관파트너쉽을 맺고 있는 ‘구글 아트앤컬처’를 선정하였는데, 그 이유는 뮤지엄과 시각예술 기반의 문화예술콘텐츠플랫폼 중 가장 규모가 크고 활성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대상 분석을 위해 국내외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이프로젝트가 사례로 연구된 분야는 주로 디지털 문화재 아카이브 및 가상 뮤지엄이며, 플랫폼 관점에서는 연구가부재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에 문화와 경제 분야의 국제기구인 UNESCO(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와UNCTAD(국제연합무역개발회의)의 정의와 국내 실정에 기반하여 문화예술콘텐츠에 대한 개념을 고찰하였으며, 플랫폼 연구에 대한 문헌조사를 실시하였다. ‘구글 아트앤컬처’와 관련된 국내외 기사와 학술자료, 평론, 인터뷰자료 등을 조사하고, 직접 사용·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본 플랫폼은 가치 활동 플랫폼이며, 미래 신기술 및 문화산업, 예술 분야의 원천콘텐츠로 활용될 가능성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플랫폼의 콘텐츠와 기능들을분석한 활용 가능성은 다음과 같다. 1)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의 큐레이션 2) VR·AR의 초월적 경험과 감각의 확장 3) 문화예술 원천콘텐츠로서의 경쟁력 확보이다. 플랫폼과 콘텐츠에 적용되는 새로운 기술적 기능을 경험하는 것은 디지털 신인류로서의 새로운 감각과 사유 체계로 접근하는 계기가 된다. 문화예술 종사자와 전문가들은이러한 플랫폼 환경의 가능성을 인식하고, 공급자 측면의 사용자 입지와 영향력을 확보하기 위해 보다 적극적인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들의 플랫폼 활동과 가치 생산이 새로운 디지털시대의 예술 패러다임을 마련하고, 미래산업 문화예술콘텐츠 창작의 원천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rt > Department of Desig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