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당하다’ 피동 구문의 두 유형Two Types of ‘-Danghada’ Passive Constructions

Other Titles
Two Types of ‘-Danghada’ Passive Constructions
Authors
김지혜[김지혜]
Issue Date
2019
Publisher
국제어문학회
Keywords
passive; ‘-Danghada’; reflexive; active; accusative; ablative; 피동; ‘-당하다’; 재귀성; 능동; 대격; 탈격
Citation
국제어문, no.81, pp.7 - 30
Indexed
KCI
Journal Title
국제어문
Number
81
Start Page
7
End Page
3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14453
DOI
10.31147/IALL.81.1
ISSN
1225-1216
Abstract
본고는 ‘-당하다’ 피동 구문의 재귀 성분을 관찰하여 ‘-당하다’ 피동 구문을 ‘대격형 피동 구문’과 ‘탈격형 피동 구문’으로 나눌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대격형 피동 구문’은 문장 내에 ‘을/를’ 명사구 형식의 재귀 성분을 가정할 수 있는 ‘-당하다’ 피동 구문이고, ‘탈격형 피동 구문’은 문장 내에 ‘에게서’ 명사구 형식의 재귀성분을 가정할 수 있는 ‘-당하다’ 피동 구문이다. 또한 대격형 피동 구문과 탈격형 피동 구문 간에 보이는 차이점들을 규명하였다. 첫째, 탈격형 피동 구문은 어떤 대상이 출발점에서 도착점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건을 표현하기 때문에 ‘-당하다’ 동사의 대상물이 [+이동 가능성]의 특성을 보이나, 대격형 피동 구문은 어떤 대상물의 이동을 표현하지 않기 때문에대격형으로 상정할 수 있는 대상물은 [-이동 가능성]의 특성을 보인다. 둘째, [+강제이동, +강탈]의 의미를 나타내는 명사들에 ‘-당하다’가 결합한 구문은탈격형 피동 구문을 이루고, [+강제이동, -강탈]의 명사 또는 [-강제이동]의의미를 나타내는 명사들에 ‘-당하다’가 결합한 구문은 대격형 피동 구문을 이룬다. 셋째, 대격형 피동 구문은 목적어의 실현이 수의적이나, 탈격형 피동 구문은목적어의 실현이 필수적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Liberal Art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