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글서예의 예술성과 활용가치 고찰A Study on the Artistry and Utilization Value of Hangeul Calligraphy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rtistry and Utilization Value of Hangeul Calligraphy
Authors
정복동[정복동]
Issue Date
2018
Publisher
한국동양예술학회
Keywords
한글 전통 서예; 문자관; 정자체; 사대부 개성추구 서체; 예술성; Traditional Hangeul Calligraphy; Character Perspective; Square Style of Handwriting; Cursive Style of Handwriting; Handwriting Script Pursuing Individuality. Artistry
Citation
동양예술, no.38, pp.225 - 265
Indexed
KCI
Journal Title
동양예술
Number
38
Start Page
225
End Page
26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21685
DOI
10.19078/ea.2018.38.9
ISSN
1975-0927
Abstract
본고는 전통적으로 계승되어온 한글서예의 예술적 근거에 주목하여 서예의 활용가치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한글서예의 예술성은 훈민정음 창제원리의 오묘한 철학적 원리에 내재되어 있다. 그러므로 훈민정음의 문자관, 고체의 심미관, 정형화된 문헌의 정자체, 필사본의 정자체와 사대부가의 부부가 쓴 한글편지를 선별 고찰하여 품격을 갖춘 예술작품 제작은 전통서예의 본질을 이해해야 무궁한 변화와 다양한 개성 창출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훈민정음의 문자관은 한자의 신성관이 계승되어 정해진 계선안에 꽉 차고, 가장 커 보이게 결구하여 중심축이 중앙에 있으며, 수직․수평․사선의 간결한 선과 동그란 곡선 등이 필획의 지극히 순수함만 취하여 좌우 대칭을 이룬 구조이다. 이는 태극의 심미의식인 中과 正, 그리고 陰과 陽이 조화하는 자연의 신묘함이 합일하여 이루어진 결구이므로 한자의 해서보다 웅혼미가 있고 균평하고 균형미가 있다. 이를 규구로 각종 문헌을 훈민정음으로 언해하며 사용된 인서체는 보고 쓰기에 편의한 정자체의 부드럽고 안정된 결구로 정형화되었다. 필사체의 정형화는 궁중 소설 낙선재본이 대표적이다. 영정조시기에 완성된 궁체로 한결같이 고르고 단정하며 아름답게 결구된 정자체와 흘림체 모두 관방과 왕실에서 간행한 문헌의 정자체를 正法으로 하되 궁중 여인의 敬과 禮道를 중시하는 생활환경과 궁녀의 성정 및 기질이 반영된 궁체로 필사하였는데, 공통된 미감이 구현되었다. 특히 상궁들의 편지 글씨는 낙선재본의 흘림체를 기초로 필획의 축약과 강약․대소․장단 등 운필의 리듬감과 공간분배의 소밀 등을 극대화시켜 진흘림체를 완성함으로써 궁체의 창신적 개성미를 선도하였다. 한편 사대부가의 개성을 추구한 흘림체는 부부의 편지를 선별하여 분석한 결과 문자의 외형, 연결성, 축약 등 형식은 유사성을 보이나 필획의 곡직, 강약, 대소 등 대대요소와 운필의 기교에 따라 필세, 필의, 필운을 달리하여 각각 개성 있는 품격을 갖추었다. 서예 작품의 개성 있는 풍격은 필봉의 운용에서 이루어지므로 筆鋒은 곧 太極과 같다. 그렇기 때문에 고인들은 서예를 大道․大美라 하고 세계를 中和할 수 있는 지표로 삼아왔다. 조선시대 지식인들의 대도․대미를 추구하는 삶은 서체에도 반영되었다. 훈민정음에 적용된 不易속에서 ‘隨時變易’ 및 ‘隨時通變’할 수 있는 哲理性을 이해하여 외재적 형식은 시대별 가문별로 유사성을 띠고 있으나 심미적 특징은 각각 개성 있는 서체를 구현하였다. 전통이란 항상 그 시대의 문화적 역량 속에서 형성되었기 때문에 조선시대의 방대한 판본문헌과 필사문헌 및 고문서 등의 한글자료는 작품을 창작하는데 근거와 규구가 된다는 점에서 전통서예의 연구는 더욱 가치가 중시되고 활용 가치 또한 높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nfucian Studies & Eastern Philosophy > Confucian Studies & Eastern Philosoph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