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하곡 정제두의 체용관 연구An interpretation of Ti-yong in Study of Hagok Jeong, Je-Du

Other Titles
An interpretation of Ti-yong in Study of Hagok Jeong, Je-Du
Authors
박현정[박현정]
Issue Date
2018
Publisher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Keywords
The Study of Yangming; The Study of Hagok; The Theory of Sheng-li; Ti-yong; Dual structure.; 양명학; 하곡학; 체용; 생리; 이중구조
Citation
유학연구, v.45, pp.129 - 161
Indexed
KCI
Journal Title
유학연구
Volume
45
Start Page
129
End Page
16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21750
DOI
10.18216/yuhak.2018.45..006
ISSN
1229-5035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 양명학자 하곡 정제두의 체용관에 대한 직접적 고찰과 더불어 그의 사상적 구조에 대해 체용론의 시각으로 해석한 것이다. 본문은 정제두 사상의 특징을 체용론적 관점에서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정제두의 체용관은 왕수인의 기본적 사고의 틀이라고 할 수 있는 즉체즉용, 즉용즉체(卽體卽用, 卽用卽體)를 기반으로한다. 둘째, 하곡의 사상적 구조는 즉체즉용의 바탕 위에 다시금 본체를 중심으로 하는 경향을 띤다. 이는 작용에 대한 본체의 우선성과 질적 차별성을 전제하는 것으로, 본체 중심의 체용 이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하곡은 즉체즉용, 즉용즉체를 말하면서도 다시본체를 중심으로 하는 체용관을 전개하였다. 본문은 이러한 하곡 체용관의 특징을 하곡체용관이 가진 이중구조로 명명한다. 본문은 하곡이 양지의 발현 가운데 여전히 사사로운 감정과 욕구에 간섭 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기 때문에 양명의 체용관에서 이를 기반으로 하여 다시금 본체를 중심으로 하는 체용관으로 발전시켰다고 주장한다. 또한 정제두 체용관의 이러한 경향성은 양지가 생생하게 발현되는 현장에서도 여전히 그것이 진리인지 확인하는 공부 방법의 필요성에서 비롯되었다고 본다. 그가 보기에 본체가 발현되는 과정 중에서도 사욕에 방해 받지 않는 공부 방법이 필요했고, 그 의도는 근본적으로체용에 대한 이해에 기반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은 정제두는 주자학적 이론체계를 가지고 양명학을 이해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양명학의 종지를 잘못 이해하였다는 비판에 대한 반론으로 기능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체용론적 분석을 통해 하곡의사상적 특징을 분석하고 여타 양명학파와 구별되는 정제두 체용관이 가지는 공부론 상에서의 차별성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와 의의를 지닌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The Academy of East Asian Studies > The Academy of East Asian Studie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