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직장인의 역할과부하와 직무열의의 관계: 심리적 분리의 매개효과와 잡 크래프팅과 결혼 여부 및 성별의 조절효과open accessRelationships between role overload and work engagement among employees: A moderated mediation model

Other Titles
Relationships between role overload and work engagement among employees: A moderated mediation model
Authors
김유경[김유경]이혜진[이혜진]박형인[박형인]
Issue Date
2018
Publisher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Keywords
역할과부하; 직무열의; 심리적 분리; 잡 크래프팅; 결혼 여부; 성별; role overload; psychology detachment; work engagement; job crafting; marital status; sex differences
Citation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31, no.1, pp.249 - 279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ume
31
Number
1
Start Page
249
End Page
27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21883
DOI
10.24230/ksiop.31.1.201802.249
ISSN
1229-0696
Abstract
본 연구는 역할과부하와 직무열의(활력, 헌신, 몰두) 간 관계의 메커니즘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먼저, 역할과부하와 직무열의 간 관계에서 심리적 분리의 매개효과를 제안하였고, 매개효과가 잡 크래프팅 수준과 결혼 여부에 따라 조건적으로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직장인 446명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진행한 결과, 역할과부하와 심리적 분리의 관계에서 잡 크래프팅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고, 가설과 같이 역할과부하와 심리적 분리 간 부적 관계를 잡 크래프팅이 완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분리와 활력 간 관계가 결혼 여부에 따라 조절되기는 하였으나 상호작용의 방향이 가설과 다르게 나타났다. 기혼은 심리적 분리에 관계없이 활력의 수준이 비교적 일정했지만, 미혼은 심리적 분리가 높아질수록 오히려 활력이 낮아졌고, 이러한 차이는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 분리와 헌신 간 관계에서도 여성의 경우에 한하여 결혼 여부의 조절효과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심리적 분리와 결혼 여부 간 상호작용의 방향이 예상과 달랐지만, 활력과 헌신에 대한 역할과부하의 간접효과는 조절변인들의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즉, 심리적 분리의 조건적 매개효과가 실질적으로 나타났다. 한편, 몰두에서는 심리적 분리의 매개효과가 어떤 조건에서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의의, 제한점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Psych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HYUNG IN photo

PARK, HYUNG IN
Social Sciences (Psychology)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