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조선조 書論에 나타난 철학과 예술성의 상관관계Correlation between philosophy and artistry in Korean calligraphy theory

Other Titles
Correlation between philosophy and artistry in Korean calligraphy theory
Authors
조민환[조민환]
Issue Date
2018
Publisher
한국동양예술학회
Keywords
art of expressing mind; the power of clear and noble preciousness; 심화; 문자향; 서권기; 서장; 김정희
Citation
동양예술, no.40, pp.317 - 339
Indexed
KCI
Journal Title
동양예술
Number
40
Start Page
317
End Page
33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21977
DOI
10.19078/ea.2018.40.13
ISSN
1975-0927
Abstract
서예를 기교 차원에서만 평가하는 예술이 아니고 ‘마음을 담아 표현하는 예술’로 이해할 때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어떤 마음을 어떻게 표현하는가에 따라 筆跡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이같이 서로 다른 필적에는 각 예술가마다 마음속에 담긴 서로 다른 철학적 지향점이 담겨 있고, 이런 사유는 기교 이외의 차원에서 이해되는 서예일 경우는 철학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서예창작과 관련해 철학적 사유를 강조하는 것은 독서를 통한 학문 및 文字香과 書卷氣를 강조하고 아울러 淸高하면서도 古雅한 文氣와 士氣를 담아낼 것과 관련이 있다, 이런 점은 서예는 단순히 문자가 갖는 실용적, 기교적 차원에서만 논의되는 예술이 아니라 철학과 미학에 바탕한 예술이어야 함을 강조한 것이다. 조선조 서예이론에서도 이런 점이 강하게 반영되어 있다. 즉 한 서예가를 평가할 때 기교의 工拙에 대한 것과 더불어 학식과 인품을 겸하여 평가하곤 하는 것이 그것이다. 이같은 사유에는 ‘글씨쟁이[書匠]’ 혹은 ‘글씨 노예[書奴]’에 머무르지 않는 ‘진정한 서예가’와 ‘서예가 어떤 사유를 표현했을 때 품격 높은 예술이 될 수 있는가’하는 질문이 담겨 있다. 이런 질문에는 서예를 ‘爲己之學’ 혹은 인문예술로 이해하고자 하는 사유도 담겨 있다. 본고는 이런 점을 조선조 서론에 나타난 철학적 사유와 연계하여 세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心畵’로서 서예작품이 갖는 의미를 유가 인격미학에 바탕한 氣象론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다음 文字香과 書卷氣를 강조하는 사유를 통해 有識과 無識으로 서예 품평과 관련된 높낮이 판별이 갖는 의미를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학문을 기준으로 한 예술성 평가를 韓濩 서예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런 연구를 통하여 조선조 서예이론에서 철학적 함의가 갖는 의미를 확인하고자 하고 아울러 격이 높고 창의적인 서예를 창작하려면 자신의 예술창작과 관련된 예술적 고민은 물론 철학적 고민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고자 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The Academy of East Asian Studies >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