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제주의 돌문화 가치와 지역중심 문화콘텐츠 활용에 관한 연구-돌하르방과 동자석을 중심으로-A Study on the Value of Stone Culture and Utilization of Local Cultural Contents in Jeju Island - Focusing on the Dolharubang and the Dongjaseok -

Other Titles
A Study on the Value of Stone Culture and Utilization of Local Cultural Contents in Jeju Island - Focusing on the Dolharubang and the Dongjaseok -
Authors
최지회[최지회]김면[김면]
Issue Date
2018
Publisher
한국사진지리학회
Keywords
Jeju; cultural contents; Dolharubang; Dongjaseok; character development; 제주; 문화콘텐츠; 돌하르방; 동자석; 캐릭터개발
Citation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28, no.3, pp.41 - 50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ume
28
Number
3
Start Page
41
End Page
5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21989
DOI
10.35149/jakpg.2018.28.3.004
ISSN
2288-9795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의 10대 문화상징물 중 하나인 ‘돌문화’를 바탕으로 돌하르방과 동자석을 선정하여 제주문화의 특수성을 밝히고 문화콘텐츠의 활용방안을 모색하였고, 돌하르방과 동자석 각각의 문화콘텐츠 활용방안을 교육용에듀테인먼트, 디지털 콘텐츠화, 스토리텔링, 캐릭터개발, 관광자원 활용 등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제주 돌하르방과동자석의 문화콘텐츠화 방안은 공항 내 돌하르방 쉼터 조성, 스토리텔링을 통한 에듀테인먼트 자료로서 활용, 캐릭터개발을 통한 고부가가치 콘텐츠 확립, 브랜드가치를 활용한 다양한 상품개발 등이며, 돌문화 컨텐츠화를 지속,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rt > Department of Desig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