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일의 문화적 의미와 기술혁명 시대The Meaning of the Work and the Age of Technological Revolution

Other Titles
The Meaning of the Work and the Age of Technological Revolution
Authors
김종규[김종규]
Issue Date
2018
Publisher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Keywords
일; 노동; 산업혁명; 협력; 공공성; Work; Labor; Industrial Revolution; Cooperation; Publicness
Citation
인문과학, no.71, pp.5 - 35
Indexed
KCI
Journal Title
인문과학
Number
71
Start Page
5
End Page
3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22057
DOI
10.31310/HUM.071.01
ISSN
1598-8457
Abstract
인간은 일을 통해 자신의 고유한 문화적 세계를 구축해왔다는 점에서, ‘일’은 근본적으로 문화적 행위이다. 이 같은 일의 공적 의미는 근대와산업혁명을 거치면서 붕괴되었고, 이로써 인간의 제작 활동은 도구를 사용하는 행위로 제한되었다. 도구가 생산의 수단이자 하나의 상품으로 전환됨으로써 ‘호모 파베르’ 역시 문화적 존재로서의 이해 가능성이 극단적으로 위축되어왔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 기술혁명은 이중적으로 이해된다. 그 하나는 인간의 일을 더 이상 사적 영역에 귀속될 수 없게 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인간 활동을 극단적으로 위축시키는 것이다. 이 둘은사실 별개의 것이 아니며, 이러한 점에서 인간에게 위기이나 그와 동시에기회이기도 하다. 이것이 기회이기 위해서는 근대 이후 인간 일의 의미왜곡에 대한 추적과 비판이 함께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통해 새로운 기술혁명 시대에 조응할 수 있는 인간 일의 의미와 가능성이 실질적으로타진될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University College > University Colleg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