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여성노인의 허약 상태 예측을 위한 보행변동성 및 체력의 역할 검증Role of Gait Variability and Physical Fitness as a Predictor for Frailty Status in Older Women

Other Titles
Role of Gait Variability and Physical Fitness as a Predictor for Frailty Status in Older Women
Authors
진영윤[진영윤]박진국[박진국]강현식[강현식]
Issue Date
2018
Publisher
한국체육학회
Keywords
frailty; gait variability; muscle strength and endurance; physical fitness; 허약; 보행 변동성; 근력 및 근지구력; 체력
Citation
한국체육학회지, v.57, no.6, pp.263 - 272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체육학회지
Volume
57
Number
6
Start Page
263
End Page
27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22202
ISSN
1738-964X
Abstract
본 연구는 여성노인의 허약 상태에 대한 보행 변동성과 체력의 역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기관의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여성노인 168명(나이 75.1±5.4)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신체조성, 보행 변인 및 변동성, 체력, 인지기능, 우울상태를 측정하였으며, Fried 등(2001)의 허약진단 지표(체중감소, 정서적 고갈, 신체활동, 보행속도, 악력)를 기준으로 정상, 전-허약, 허약으로 구분하였다. 허약 상태 예측을 위한 보행 변인 및 변동성 그리고 체력의 역할을 검정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나이, 교육수준, 보유한 질병 수,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인지기능 점수와 우울점수를 통제 한 후 허약그룹은 정상그룹(OR=1)과 비교하였을 때, 두 다리 지지비율(OR=1.484, 95% CI=0.996-2.211, p=.049) 및 분당 보폭수(OR=2.057, 95%CI=1.199-3.429, p=.009)의 변동성이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상체근력(OR=0.486, 95%CI=0.308-0.766, p=.002)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허약의 예측인자로 나타난 두발 지지비율 및 분당 보폭수의 변동성 그리고 상체근력은 허약 상태를 예측하고 평가하는데 중요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Sport Science > Department of Sport Scienc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ANG, HYUN SIK photo

KANG, HYUN SIK
Sport Science (Sport Scienc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