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빅데이터 융합 기반 NCS 홈페이지에 관한 탐색적 연구: 스플렁크 활용을 중심으로An Exploratory Study on the Big Data Convergence-based NCS Homepage : focusing on the Use of Splunk

Other Titles
An Exploratory Study on the Big Data Convergence-based NCS Homepage : focusing on the Use of Splunk
Authors
박성택[박성택]이재덕[이재덕]김태웅[김태웅]
Issue Date
2018
Publisher
한국디지털정책학회
Keyword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HRD Korea; Splunk; Big data analysis; Big data; NCS; 한국산업인력공단; 스플렁크; 빅데이터분석; 빅데이터
Citation
디지털융복합연구, v.16, no.7, pp.107 - 116
Indexed
KCI
Journal Title
디지털융복합연구
Volume
16
Number
7
Start Page
107
End Page
11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22393
DOI
10.14400/JDC.2018.16.7.107
ISSN
2713-6434
Abstract
NCS는 지식, 스킬, 태도 등과 같은 역량 구성요소들을 시스템함으로써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다양한 레벨의 역량을 키우고 이에 부합하는 직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목적이 있다. NCS는 또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설계와 업무현장평가를 위한 스펙 개발을 위한 자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한국산업인력공단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NCS 관련 서비스 혁신을 위해 스플렁크라는 빅데이터분석시스템을 도입·운영 중이다. 스플렁크는 사용자가 손쉽게 폭넓은 데이터를 검색, 수집, 조직화 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기존의 노동집약적인 데이터베이스 운영체계와는 전혀 다른 서비스를 제공한다. 스플렁크의 데이터 시각화 및 분석기능을 활용하여 한국산업인력공단은 기존에는 불가능하였던 NCS 관련 서비스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운영적 인텔리젼스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NCS 홈페이지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스플렁크을 활용한 NCS 관련 서비스 및 축적 데이터에 대한 시각화 전략과 대시보드 설계 그리고 다양한 통계적 분석기능 및 구조에 대해 분석하고 이에 대한 소개를 하였으며, 이러한 사례 연구를 통한 실무적인 차원에서의 활용방안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Business > Global Business Administr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