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노인 주거이동 의향 결정요인 및 변화에 관한 연구: 2006・2016 주거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open accessFactors Affecting Residential Mobility Among the Elderly: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2006 and 2016 Korea Housing Survey

Other Titles
Factors Affecting Residential Mobility Among the Elderly: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2006 and 2016 Korea Housing Survey
Authors
송주연[송주연]전희정[전희정]
Issue Date
2018
Publisher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Keywords
the elderly; residential mobility; housing welfare; 노인가구; 주거이동; 주거복지
Citation
국정관리연구, v.13, no.2, pp.191 - 220
Indexed
KCI
Journal Title
국정관리연구
Volume
13
Number
2
Start Page
191
End Page
22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22626
DOI
10.16973/jgs.2018.13.2.007
ISSN
1975-8324
Abstract
우리나라는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됨에 따라 노인가구가 증가하면서 노인의 주거문제는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은퇴 후 편안한 삶을 영위해야하는 장소가 주거지가 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노인들은 경제적 여건의 악화로 인하여 비자발적인 주거이동을 경험하는 등의 주거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06년 및 2016년 주거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노인주거이동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변화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거이동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주택특성 변수, 주거환경특성 변수, 가구특성 변수로 설정하였다. 또한, 2006년과 2016년 간 비교 및 노인가구와 비노인가구 간 비교를 통해 주거이동의향 결정요인의 시기별과 가구형태별 차이를 이항로짓분석을 통해 규명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2006년 노인가구는 주거이동 의향 요인에 있어 주거 안정성 요인이 중요했던 반면 비노인가구는 경제적 요인, 주거 안정성 요인, 주거환경 요인 모두 중요했다. 둘째, 2016년 노인가구는 과거에 비해 가구의 경제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노인가구들의 안정적인 삶을 위한 주거복지정책의 방향을 제시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Governance > ETC > 1. Journal Articles
Graduate School of Governance > Graduate School of Governanc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UN, HEE JUNG photo

JUN, HEE JUNG
Graduate School of Governanc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