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근대 한문, 東亞同盟과 혁명의 문자― 『판보이쩌우자서전(潘佩珠年表)』으로 본아시아 혁명의 원천Sinographic Writing as Script of Revolution and East Asian Alliance― Exchange of Revolutionary Knowledge, Reading Overturned Chariot: The Autobiography of Phan Bội Châu

Other Titles
Sinographic Writing as Script of Revolution and East Asian Alliance― Exchange of Revolutionary Knowledge, Reading Overturned Chariot: The Autobiography of Phan Bội Châu
Authors
황호덕[황호덕]
Issue Date
2018
Publisher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Keywords
Phan Bội Châu; Asian Revolutionaries; Sinographic Writing; Common script; East Asian Alliance; Brush talk; Revolutionary knowledge; Singraphic modernity; 판보이쩌우(潘佩珠); 아시아 혁명; 한문; 동문; 동아동맹; 필담; 혁명 지식; 한문의 근대
Citation
대동문화연구, no.104, pp.423 - 458
Indexed
KCI
Journal Title
대동문화연구
Number
104
Start Page
423
End Page
45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22669
DOI
10.18219/ddmh..104.201812.423
ISSN
1225-3820
Abstract
근대 동아시아의 베스트셀러인 량지차오와 판보이쩌우 공편의 <월남망국사>는 동아시아 근대의 지식, 문화, 권력의 교환 및 상호 작용을 이해하는 상징적인 사건 중 하나이다. 이 글에서는 판보이쩌우의 한문본 자서전을 중심으로 동아시아의 근대 지식의 상호작용, 특히 혁명 지식 및 방법론의 순환 문제를 검토한다. 아시아가 연대하여 서양에 맞서자는 기치는, 비록 그것이 수다한 배신과 자가당착적인 광역권 구상들 속에서 부식되었다 하더라도 19세기말부터의 오랜 정치적 이상이자 저항의 ‘방법’ 중 하나였다. 난처한 것은 다케우치 요시미(竹內好)의 악명 높은 명제처럼 “침략과 연대를 구체적 상황에 있어서 구별할 수 없다”는 점, 혹은 그 구별 자체를 행위자도 완전히 알지 못한다는 점이다. 양자를 걸치는 “하나의 경향성” 속에서 연대와 개입이 매순간 간단히 구별될 수 없다고 할 때, 아시아의 일원으로서 아시아에 책임을 지려했던 판보이쩌우의 삶과 문필은 동아시아라는 지식장을 선의의 연대로 해석하며 펼쳐낸 탈식민운동의 가장 인상적인 사례에 해당한다. 이 글을 통해 판보이쩌우와 한국이 맺는 관계의 근원인 熱血 문자 『월남망국사』의 창작 과정을 재평가하는 한편, 『潘佩珠年表』를 통해 동아시아라는 지평에서 한문이 펼쳐보인 근대성의 또 다른 모습을 추적해보려 한다. 이 자서전적 기록은 그간 한국학에서 간과되어 온 저작이나 최근 베트남과의 역사적 관계들에 대한 관심 속에서 새롭게 주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潘佩珠年表』에 등장하는 량치차오(梁啓超), 오쿠마 시게노부(大隈重信), 이누카이 쓰요시(犬養毅), 쑨원(孫文), 미야자키 도텐(宮崎滔天)과의 필담과 교류 및 조소앙, 신규식과의 정치적 연대를 실마리로 하여 筆談媒价를 통해 드러나는 한문의 근대성-매개성, 정치성, 奸智의 측면에 대해 숙고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同文이란 공유하는 과거보다 도래할 혁명을 여는 자리였던 한편, 또한 늘 연대와 함께 배신과 야욕, 자가당착으로 들끓는 격전의 장소였음을 논증하려 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Liberal Art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WANG, HO DUK photo

HWANG, HO DUK
Liberal Arts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