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국어 다면어에 대한 재고찰The Re-study of Multi-Faceted Words

Other Titles
The Re-study of Multi-Faceted Words
Authors
안혜지[안혜지]
Issue Date
2018
Publisher
반교어문학회
Keywords
다면어; 국면; 다의어; 실체명사; 다중의미 스펙트럼; multi-faceted words; facets; polysemantic words; concrete name; polysemantic spectrum
Citation
반교어문연구, no.49, pp.225 - 251
Indexed
KCI
Journal Title
반교어문연구
Number
49
Start Page
225
End Page
25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22685
ISSN
1598-2734
Abstract
이 연구는 다면어의 정의와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다면어의 위상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다면어는 하나의 어휘 항목으로 국면의 결합인 게슈탈트를 지시하는 유형의 어휘이다. 다면어의 국면은 환유적 다의어와 여러 측면에서 유사하지만, 두 개념을 동일하게 보기는 어렵다. 환유의 다양한 부류 중 지시 대상의 인접성을 통해 발생하는 환유, 그 중에서도 전체로서 부분을 지칭하는 종류만이 다면어가 된다. 다면어의 국면에서 나타나는 통합적 양상은 국면들의 지시적 특성에서 기인한다. 언중들이 여러 국면을 하나의 통합체로 인식하기 위해서는 의의가 명확하고 구체적인 이미지를 가져야만 한다. 이러한 이유로 국면은 실체성을 가진 지시체를 갖는 실체명사에서만 나타날 수 있다. 다면어는 어휘의 다의성이 지시물의 실체성과 결합하여 나타나는 다의성의 특수한 실현 양상이다. 다면어의 의의가 구체적인 실체를 갖기 때문에, 다면어는 다중의미 스펙트럼 가운데 가장 명시적인 형태라고 할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Liberal Art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