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PAI-A(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for Adolescent) 재표준화 연구: 신뢰도와 타당도를 중심으로Restandardization Study of the Korean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for Adolescent (PAI-A): Reliability and Validity

Other Titles
Restandardization Study of the Korean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for Adolescent (PAI-A): Reliability and Validity
Authors
임소희[임소희]황순택[황순택]권해수[권해수]김지혜[김지혜]박은영[박은영]박중규[박중규]이수정[이수정]이은호[이은호]홍상황[홍상황]
Issue Date
2018
Publisher
한국임상심리학회
Keywords
PAI-A; adolescent; psychopathology; personality trait; 청소년 성격평가질문지; PAI-A; 청소년; 정신병리; 성격 특성
Citation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4, no.3, pp.435 - 454
Indexed
KCI
OTHER
Journal Title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ume
4
Number
3
Start Page
435
End Page
45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22989
ISSN
2466-0787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 성격검사 질문지(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for Adolescent; PAI-A; Morey, 2007)를 한국판으로 번안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초중등통계를 근거로 전국의 중고등학생 2,223명을 유층표집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판 PAI-A와 함께 PAI-A의 척도들과 유사한 영역을 평가하는 14가지의 준거 척도들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판 PAI-A 척도들의 내적 합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적절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PAI-A의 척도들과 준거 척도들 간 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사한 개념을 평가하는 척도들과는 상관이 높고, 상반되는 척도들과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PAI-A가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심리적 문제와 성격 특성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평가할 수 있는 도구임을 시사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Medicine > Department of Medicin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