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淨因院畫記」를 통한 蘇軾의 이분법적 대상 인식 고찰Consideration on Su shi's dichotomic objective recognition through 「Jingyinyuanhuaji」

Other Titles
Consideration on Su shi's dichotomic objective recognition through 「Jingyinyuanhuaji」
Authors
강교희[강교희]
Issue Date
2018
Publisher
한국동양예술학회
Keywords
Su shi; Jingyinyuanhuaji; Changxing; Changli; 소식; 정인원화기; 상형; 상리
Citation
동양예술, no.39, pp.5 - 24
Indexed
KCI
Journal Title
동양예술
Number
39
Start Page
5
End Page
2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23279
DOI
10.19078/ea.2018.39.1
ISSN
1975-0927
Abstract
북송(北宋)의 소식(蘇軾)은 송대(宋代) 문인화풍 형성의 선구적 인물로서, 화론서를 집필하거나 체계적인 회화 이론을 주창한 바는 없으나 회화 창작에 대해 다수의 독창적 견해를 제시하였다. 그 중에서도 「정인원화기(淨因院畫記)」에서는 창작 대상을 상형(常形)이 있는 것과 상리(常理)가 있는 것으로 이분하는 새로운 인식 방법을 발견할 수 있다. 상형은 각각의 사물이 지니는 일정한 형태이며, 상리는 각각의 사물이 지니는 일정한 이치를 말한다. 즉 사물에는 상형이 있거나, 상형이 없는 경우 상리가 있으니 반드시 그것을 파악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다만 소식이 사물에 상형 또는 상리가 있음을 주장한 것에서 그치지 않고, 상리가 상형의 부재를 대체할 수 있다고 한 점에는 재고의 여지가 있다. ‘상형이 있는 사물’과 ‘상형이 없는 사물’의 차이는 그것의 일정한 형태를 지니고 있는가의 여부에 있는 반면, 상형 부재의 대안으로 제시된 상리는 비형태적인 영역의 명제이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의 세 가지 쟁점을 중심으로 「정인원화기」를 재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첫째, ‘상형이 있는 사물’과 ‘상형이 없는 사물’, 즉 ‘상리가 있는 사물’의 예로 분류된 소재들의 구분 기준은 무엇인가. 기존 연구와 같이 시시각각 외물의 영향을 받는 사물을 상형이 없는 것으로 볼 수도 있으나, 당시 성행한 문인화와 소식의 관계를 고려해본다면 회화 장르에 따른 소재의 구분일 가능성 또한 배제할 수 없다. 상리가 있는 예로 제시된 사물들이 창작자의 정신 반영을 중시하는 문인화의 소재들이기도 한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둘째, 상리로 상형을 대체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상형 없는 사물의 경우 상리를 파악해야 한다는 그의 주장에서 특이한 점은 상리가 상형과는 반대의 영역에 있는 비형태적 요소라는 점이다. 이를 위해서는 소식이 추구하는 회화 창작의 궁극적 목표가 무형의 가치를 기반으로 한 유형의 가치의 회복에 있었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상형은 가시적인 이치로서, 상리는 비가시적인 이치로서 창작 대상의 실제와 같은 닮음의 재현이라는 하나의 가치를 도모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상형과 상리를 파악하는 방법이 있는가. 구체적인 방법에서는 차이가 있으나 두 번째 쟁점과 같은 맥락에서 상형과 상리의 파악에는 모두 끊임없는 관찰과 배움이 요구된다. 위와 같은 점들로 인해 「정인원화기」는 다시 분석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소식이 대상의 인식 경로를 상형과 상리로 이분할 것을 주장한 이면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창작 대상의 사실성 확보를 통한 닮음의 재현은 소식이 회화 창작에서 추구하는 일관된 가치임을 확인할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The Academy of East Asian Studies > The Academy of East Asian Studie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