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성준춤 다시보기: 시대인식과 춤인식을 바탕으로A Review of Han Sung Jun’s Dance Works: Tracing Back His Social Awareness and Dance Perspective

Other Titles
A Review of Han Sung Jun’s Dance Works: Tracing Back His Social Awareness and Dance Perspective
Authors
김연정[김연정]
Issue Date
2017
Publisher
무용역사기록학회
Keywords
Han Sung Jun; Social Awareness; Dance Perspective; Seung Mu; Tae Pyung Mu; Salpuri Chum; 한성준; 시대인식; 춤인식; 승무; 태평무; 살풀이춤
Citation
무용역사기록학, v.44, pp.159 - 184
Indexed
KCI
Journal Title
무용역사기록학
Volume
44
Start Page
159
End Page
18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31042
ISSN
2383-5214
Abstract
한성준은 조선조 말기와 일제 강점기에 활동하였던, 민족 고유의 춤들을 집대성하고 체계적 전승의 기초를 닦은 전통춤계의 독보적인 인물이다. 그 중요성 때문에 많은 선행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여전히 그에 대한 문화사적 맥락에서 재해석의 여지가 남아있다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는 한성준이 구술이나 대담을 통해 남긴 그의 직접 적인 표현을 중심으로 그가 시대와 춤에 대하여 피력한 그의 시대 인식과 춤 인식을 재해석해 보고자 하였다. 한성준은 봉건사회와 식민지사회를 살아온 예인으로서 사회적 차별과 문화적 혼란을 ‘치욕’이라 표현하였다. 그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민족 고유의 예술을 지켜나가는 것을 사명으로 삼고 이에 대한 자긍심을 자신의 예술세계에 투영하였다. 급격한 근대화 과정에서 밀려들어온 서양문물과의 통합과정에서도 문화의 주체로서 자존감을 잃지 않았으며 그가 평생 배우고 익혀온 다양한 민속예능의 원천을 춤에 집중하면서 춤의 본질에 대한 열린 의식과 통합적 사고를 보여 주었다. 한성준이 남긴 대표적인 세 가지 춤, <승무>, <태평무>,<살풀이춤>에 대하여는 역사적 서술의 자료를 찾는 동시에 한성준이 각 춤에 대하여 언급한 내용을 바탕으로 그가 보여준 춤에 대한 이해에 좀 더 다가가고자 하였다. <승무>는 단순히 종교적 색채를 띤 민속무의 하나라기 보다는 오랜 역사를 거쳐 내려오면서 여러 문화와 사상이 자연스럽게 습합되어져 온 춤의 정수라 할 수 있다. <태평무>는 그의 시대 인식에 비추어 볼 때 단지 태평성대를 기원하고 조선왕조의 부활을 염원하였다기보다는 만인이 하늘 아래 평등하고 평화롭게 공존하여 살아가기를 염원한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겠다. <살풀이춤>은 가장 자유로운 형식을 가지고 있으며 춤꾼의 정서가 가장 잘 드러나는 춤으로 설명하였는데 이는 현재에도 열린 가능성을 보여 줄 수 있는 춤이라 할 수 있겠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OTHERS >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