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형 미디어교육 모형의 개발에 대한 탐색적 연구An Exploratory Study on Development of Korean Media Educational Model

Other Titles
An Exploratory Study on Development of Korean Media Educational Model
Authors
이란[이란]현은자[현은자]
Issue Date
2017
Publisher
한국콘텐츠학회
Keywords
Media Education; Model Development; Literature Review; Exploratory Study; Korean Media Educational Model; 미디어 교육; 모형 개발; 문헌 고찰; 탐색적 연구; 한국형 미디어 교육 모형
Citation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v.17, no.3, pp.462 - 473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Volume
17
Number
3
Start Page
462
End Page
47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31053
DOI
10.5392/JKCA.2017.17.03.462
ISSN
1598-4877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 인근 초등학교 중학년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각각 수행된 미디어 심성모형 관련 두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현재 한국 상황에 적합한 한국형 미디어 교육 모형을 문헌 고찰을 통해 제안하였다. 미디어 교육이 성공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서구의 대표적 미디어 교육 모형, 즉 버킹엄의 창작 중심 교육 모형, 홉스의 실천 중심 교육 모형, 포터의 분석 중심 교육 모형, 밴후저의 세계관 중심 교육 모형을 검토해 보고, 이들 각 모형들의 장점들을 종합한 후, 한국의 수요자들의 필요를 반영하여 이를 수정하고 재편하였다. 새로 개발된 수요자 중심 교육 모형은 ‘세계관과 관점,’ ‘사용(접근),’ ‘분석과 평가,’ ‘성찰,’ ‘사회적 실천’ 단계로 구성된 순환 모형인데, 각 단계는 앞서 살펴본 4개의 대표적 모형이 각각 강조하고 있는 각 목표 영역의 핵심 내용들을 차용하되 한국 수요자들의 특수한 현실을 반영했다. 중독이나 사이버 폭력 등의 미디어 사용태도에 관한 필요는 ‘세계관과 관점’ 영역에 반영하였고, 인쇄 매체인 도서의 미디어로서의 위상 교육은 ‘사용(접근)’에, 디지털 미디어의 높은 사용 빈도의 현실은 ‘사회적 실천’ 영역에 반영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Child Psychology and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