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流出的 觀點에 의한 性理學과 基督敎 神學의 世界觀 硏究A study on the world view of Christianity and Confucianism observed from the viewpoint of Outflow theory

Other Titles
A study on the world view of Christianity and Confucianism observed from the viewpoint of Outflow theory
Authors
정현수[정현수]
Issue Date
2016
Publisher
한국유교학회
Keywords
Outflow theory; Creation theory; Substance; Taiji; Earth.; 유출설; 창조설; 질료; 태극; 땅
Citation
유교사상문화연구, no.65, pp.289 - 319
Indexed
KCI
Journal Title
유교사상문화연구
Number
65
Start Page
289
End Page
31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38776
ISSN
1226-7082
Abstract
유출설과 창조설은 이 세계의 발생에 관해 병존하는 두 종류의 해석이다. 일반적으로 기독교 철학의 초기 형성기에 고대의 철학에서 신학으로 이행하는 과정의 사조로 인식되고 있다. 그 사유의 경계는 세계의 기원과 만물 발생에 대한 상이한 이해에서 비롯한다. 양자의 본질적 구분은 절대 타자로서의 기원 존재에 대한 유ㆍ무의 인식 차이이다. 세계관에 대한 이러한 인식은 고대 서양적 사유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동서 세계관에 대한 인식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천주실의』에 나타난 16세기 천주교의 전래로 인한 동서 세계관의 만남은 이러한 경향을 확인시켜주는 한 단면일 것이다. 16세기 기독교 세계관과 성리학 세계관의 접촉은 유신론과 무신론적 사유에 근거한 세계관의 대립으로 절대 타자에 대한 유ㆍ무의 인식이 확연하게 대비되고 있다. 이러한 구도는 양자의 세계관 대립이 유출과 창조의 대비적 관점으로 해석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동서 세계관의 관점에서 본다면 그리스 철학과 기독교 세계관의 형성과정에서 나타난 유출과 창조의 관점은 선진유학과 성리학의 세계관 형성과정에서 교차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nfucian Studies & Eastern Philosophy > Confucian Studies & Eastern Philosoph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