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프로농구 플레이오프 진출을 위한 순위결정 요인 탐색과 통계적 모형 비교Comparison of the Outcomes of Statistical Models Applied to the Prediction of Play-off Entry in Korean Professional Basketball

Other Titles
Comparison of the Outcomes of Statistical Models Applied to the Prediction of Play-off Entry in Korean Professional Basketball
Authors
조은형[조은형]채진석[채진석]
Issue Date
2016
Publisher
한국체육학회
Keywords
한국프로농구; 플레이오프; 판별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인공신경망분석; Korea basketball; Play off; Discriminant; Logistic regression; Neural network
Citation
한국체육학회지, v.55, no.1, pp.733 - 745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체육학회지
Volume
55
Number
1
Start Page
733
End Page
74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38817
ISSN
1738-964X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프로농구연맹(KBL)에서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한 1996-97시즌부터 2014-2015시즌까지의 경기기록 자료를 이용하여 플레이오프에 진출을 위한 경기력 변인은 어떠하며, 팀이 상위권 성적을 유지하기 위한 경기력변인은 무엇인지를 탐색하며, 승률 1위 팀은 어떤 경기력변인에서 우수한지? 소속 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 할 수 있는지 또는 성적이 상위권에 오를 수 있는지? 알아볼 수 있는 예측모형을 제시하며 제시된 3가지 예측모형 중 어떤 예측모형이 설명력이 좋은지를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분석은 독립 t-test와 One-Way ANOVA, 승률과 경기력 변인과의 관련성 정도는 상관분석, 경기력변인 1위 팀과 승률 1위 팀과의 관련성은 일치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3가지의 통계모형(판별분석, 이항로지스틱회귀분석, 인공신경망분석)을 적용하였다. 다양한 분석에서 도출된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팀과 진출하지 못한 팀 간의 유의미한(p<.05)변인은 최다연승, 최다연패, 2PP, FTM, BS, 3PP, TF, RPG, PPG, 2PA, APG, FTP이상 12개이었으며, 성적순위를 상위권, 중위권, 하위권으로 구분하여 평균 비교한 결과는 상위권을 기준으로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는 최다연승, 최다연패, RPG, BS, TF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승률1위 팀과 경기력변인의 1위 팀과의 일치성은 2PP=BS=TF(33.3%)<CH(35.3%)<최다연승(55.6%)<최다연패(88.9%) 순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종속변인이 2집단인 예측모형의 분류정확도는 판별분석(88.8%)<이항로지스틱회귀분석(89.9%)<인공신경망분석(94.3%)순으로 나타났으며, 종속변인이 3집단인 예측모형의 분류정확도는 판별분석(75.8%)<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78.7%)<인공신경망분석(81.8%)순으로 나타났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Sport Science > Department of Sport Scienc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