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조선시대 궁궐(宮闕) 건축의 원리와 그 사상적기반으로서의 예(禮) 연구 ­ 경복궁(景福宮)을 중심으로A study of the Choseon Dynasty’s construction of the royal palace and li(禮)- Centering around Gyeongbokgung Palace

Other Titles
A study of the Choseon Dynasty’s construction of the royal palace and li(禮)- Centering around Gyeongbokgung Palace
Authors
김현수[김현수]
Issue Date
2016
Publisher
한국철학사연구회
Keywords
Royal palace; Li; Gyeongbokgung; Zhuli; three gate & Three royal courts.; 궁궐(宮闕); 예(禮); 경복궁(景福宮); 『주례(周禮)』; 삼문삼조(三門三朝).
Citation
한국철학논집, no.51, pp.125 - 155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철학논집
Number
51
Start Page
125
End Page
15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38981
DOI
10.35504/kph.2016..51.005
ISSN
1598-5024
Abstract
본 논문은 ‘조선시대 궁궐인 경복궁(景福宮)을 분석하여 그 건축 원리 및 사상적 기반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우선 고대(은과 주) 궁궐 구조의 특징, 중국 건축의 수적 확대 양상, 『주례』 「동관고공기・장인」의 궁궐 구조 및 배치 내용과 타당성, 『예기』 「명당위」의 삼문(三門)과 오문(五門)에 관한 내용을 살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경복궁에 어떻게 적용됐는지 검토하고, 고려 궁궐과 중국 자금성과 비교를 통해 동이점을 밝히고자 했다.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① 경복궁에 적용된 궁궐 건축 원리는 『주례(周禮)』・『예기(禮記)』에서 언급된 중앙궁궐(中央宮闕), 좌묘우사(左廟右社), 전조후시(前朝後市)의 배치 원리, 삼문삼조(三門三朝)의 원리이다. ② 경복궁은 광화문-흥례문-근정문-근정전-사정전-강녕전의 삼문삼조(三門三朝)로 배치되었으며, 자금성은 천안문(天安門)-단문(端門)-오문(午門)-태화문(太和門)-태화전-건청문(乾淸門)-건청전의 오문삼조 형식이다. 『주례(周禮)』 「동관고공기」의 궁궐 구조 및 배치 기준에 자금성이 더 근접하지만, 조선의 경우에는 군주의 위엄과 권위를 보여주는 궁궐보다는 절검과 안민 및 고대 성인이 추구한 정치의 공간으로 경복궁을 이해하려 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nfucian Studies & Eastern Philosophy > Confucian Studies & Eastern Philosoph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