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위성기상자료를 활용한 황사에 따른 한반도 국민 건강영향평가Effects of Morbidity in Korean Peninsula Due to Sand Dust Using Satellite Aerosol Observations

Other Titles
Effects of Morbidity in Korean Peninsula Due to Sand Dust Using Satellite Aerosol Observations
Authors
최민영[최민영]김형록[김형록]김상만[김상만]최민하[최민하]
Issue Date
2016
Publisher
대한원격탐사학회
Keywords
Satellite dataset; health condition; aerosol; big data of health and medical treatment
Citation
대한원격탐사학회지, v.32, no.5, pp.499 - 509
Indexed
KCI
Journal Title
대한원격탐사학회지
Volume
32
Number
5
Start Page
499
End Page
50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39096
DOI
10.7780/kjrs.2016.32.5.8
ISSN
1225-6161
Abstract
1990년대 이후 황사의 발생빈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사회전반의 피해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까지 진행된 황사에 대한 대부분의 선행 연구에서는 지점관측자료를 이용하였는데, 시간적/공간적 변동성이 강한 황사를 정확히 해석하기에는 부족한 상황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위성에어로졸 자료를 이용하여 기존연구의 시공간적인 한계성을 극복하여 황사 발생 기간 동안의 호흡기질환과 안질, 심혈관계질환자 수의 변동양상에 관한 건강영향평가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일반적으로 위성에어로졸 수치는 봄철에 높게 나타났으며, 공간적으로 동쪽 지역보다는 서해안과 인근한 서쪽 지역에서 대체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황사와 관련성이 높은 질병인 안구질환, 순환계통의 질환, 호흡기계질환과의 상관분석은 비교적 4월에서 7월사이에 높게 나타났는데, 지체기간 3개월에서 0.6 정도의 높은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위성 에어로졸 자료를 이용하여 기존의 지점자료기반 연구의 한계성을 극복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또한, 건강영향 평가에 대한 가능성을 파악함으로서 황사피해에 대비한 의약품의 원활한 공급과 불필요한 의료비 지출예방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Water Resources > ETC > 1. Journal Articles
Graduate School of Water Resources > Department of Water Resource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OI, MIN HA photo

CHOI, MIN HA
Graduate School of Water Resources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