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경험표집법을 이용한 예비유아교사 교육실습의 주된 활동 및 직무와 정서 탐색open accessAn experiential study of the practicum of pre-service teachers on what they do and how they feel

Other Titles
An experiential study of the practicum of pre-service teachers on what they do and how they feel
Authors
백지희[백지희]
Issue Date
2016
Publisher
한국유아교육학회
Keywords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al Practicum; Experience Sampling Method: ESM; Emotion; 예비유아교사; 교육실습; 경험표집법; 정서
Citation
유아교육연구, v.36, no.4, pp.201 - 222
Indexed
KCI
Journal Title
유아교육연구
Volume
36
Number
4
Start Page
201
End Page
22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39513
DOI
10.18023/kjece.2016.36.4.009
ISSN
1226-9565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가 교육실습을 통하여 경험하는 주된 활동과 직무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정서를 탐색하는 데 있다. 교육실습 분석에 관한 기존 연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경험표집법을 활용하였다. 교육실습에 참여하는 3년제 유아교육과 학생 94명이 연구에 참여하여 4주간의 실습기간 동안 총 1862개의 경험을 표집하였다. 경험기록지에는 예비유아교사의 주된 활동과 활동에 따른 정서가 조사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의 활동을 유치원 교사의 직무 분석에 따라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는 유치원 교사의 직무 10개 영역 중 특정 업무(교수학습 실제, 교수학습 준비, 교수학습 평가)를 중점적으로 경험하였으며, 전혀 경험하지 못하거나 매우 적게 경험하는 직무도 다수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정서는 상대적으로 긍정적 정서가 부정적 정서보다는 높았으나, 긍정적 정서 역시 높게 나타나지 않았다. 예비유아교사가 느끼는 부정적 정서의 종류는 직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직무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정서를 이해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Child Psychology and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