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위한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A Meta–Analysis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Programsfor Female Domestic Violence Victims

Other Titles
A Meta–Analysis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Programsfor Female Domestic Violence Victims
Authors
고은주[고은주]김정우[김정우]
Issue Date
2016
Publisher
한국피해자학회
Keywords
female domestic violence victims; meta–analysis; domestic violence; spouse violence; domestic violence program; 가정폭력 피해여성; 메타분석; 가정폭력; 아내폭력; 가정폭력 프로그램
Citation
피해자학연구, v.24, no.2, pp.33 - 62
Indexed
KCI
Journal Title
피해자학연구
Volume
24
Number
2
Start Page
33
End Page
6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39536
ISSN
1229-2923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폭력으로 인하여 신체적‧심리적‧사회적 문제를 갖고 있는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을 위하여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유형 및 유형별 특성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98년부터 2015년 12월까지 다수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총 45편의 국내 가정폭력 프로그램 연구물을 분석대상으로 최종 선정하였다. 전체효과크기를 분석하기에 앞서 동질성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랜덤효과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1.08 이었으며 이 효과크기는 Cohen(1988)의 기준에 따라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위한 프로그램이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의 신체적‧사회적‧심리적 문제기능 요인을 향상시키거나 제거하는데 매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프로그램의 유형 중에서는 놀이, 모래놀이, 원예와 같이 동적이면서 보상이 주어지는 프로그램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효과성 영역 중에서는 신체적 영역이 가장 뚜렷한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프로그램 유형 및 운영특성에 따른 분석결과는 운영회기가 길고 , 운영시간이 1시간 미만이고, 참여인원수가 10명 내외일 경우에서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위한 프로그램 유형 및 운영특성과 관련한 이론적, 실제적 시사점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