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古代 韓國漢字音의 硏究(Ⅰ)-최근 발굴된 角筆 聲點 資料를 중심으로-A Study on the Old Sino-Korean(I) as seen through recently excavated Tone Mark Data of Unified Silla and Goryeo Dynasty

Other Titles
A Study on the Old Sino-Korean(I) as seen through recently excavated Tone Mark Data of Unified Silla and Goryeo Dynasty
Authors
권인한[권인한]
Issue Date
2016
Publisher
구결학회
Keywords
古代韓國漢字音、角筆、聲點、大谷大學藏《判比量論》、東大寺藏《華嚴經》卷12-20、誠庵古書博物館藏周本《華嚴經》57; 古代 韓國漢字音; 角筆; 聲點; 大谷大學藏 『判比量論』; 東大寺藏 華嚴經 卷12-20; 誠庵古書博物館藏 周本 華嚴經 卷57
Citation
구결연구, no.37, pp.5 - 38
Indexed
KCI
Journal Title
구결연구
Number
37
Start Page
5
End Page
3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39609
DOI
10.17001/kugyol.2016..37.001001
ISSN
1226-6019
Abstract
이 논문은 8세기 문헌인 大谷大學藏 『判比量論』, 東大寺藏 華嚴經 卷12-20, 11세기 문헌인 誠庵古書博物館藏 周本 華嚴經 卷57에 나타난 聲點 資料를 중심으로 古代 韓國漢字音의 聲調 問題를 고찰한 것이다. 총 36항목, 35자에 걸쳐 나타난 聲點들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8세기 중엽에서부터 上聲의 去聲化로 출발하여 11세기 후반에 와서 去聲의 上聲化 경향까지 더해져서 “上去無別(/相混)” 現象의 深化를 가져왔음을 角筆 聲點 資料로써 추적할 수 있다. 2) 중국과의 접촉을 통하여 中古音의 四聲體系가 都給으로 한국어에 移植되었을 가능성을 알려줌으로써 한국어 韻素體系에 있어서의 大變化 가능성까지도 생각해볼 수 있게 해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Liberal Art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WON, INHAN photo

KWON, INHAN
Liberal Arts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