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五經百篇』 수록 『詩經』에 대한 연구open accessA Study on the Shigyeong which is Included in the Ogyeong-Baegpyeon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higyeong which is Included in the Ogyeong-Baegpyeon
Authors
윤현정[윤현정]
Issue Date
2016
Publisher
한국서지학회
Keywords
Ogyeong-Baegpyeon; Ogyeong-Baegseon; Shigyeong; king Jungjo; Munchepanjung; Anthology; 五經百篇; 五經百選; 詩經; 正祖; 文體反正; 選本
Citation
서지학연구, no.65, pp.243 - 290
Indexed
KCI
Journal Title
서지학연구
Number
65
Start Page
243
End Page
29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39864
DOI
10.17258/jib.2016..65.243
ISSN
1225-5246
Abstract
본 연구는 正祖朝 親撰 『五經百篇』 제 3권 「詩」 수록 작품을 대상으로, 내용 분석을 통해 주제와 인용 양상을 고찰하여 작품 선별 기준을 추측해보고, 나아가 『오경백편』의 편찬 목적을 파악하는 데에 목적을 지닌다. 『오경백편』은 문장의 正宗을 제시해야 했던 시대적 상황과 고문을 지향하고 주자학을 존숭했던 정조의 문체관 및 초록하는 것을 중요시하는 학문적 사상이 융합되어 행해진 ‘선본 편찬’이라는 배경에 의해 편찬되었다. 『오경백편』은 易經, 書經, 詩經, 春秋, 禮記 오경 중에서 99편의 글을 선정하여, 각 경서별로 한 권씩 총 5권이 한 帙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제 3권 「시」는 67편을 차지하고 있어 가장 양이 많은데, 유가에 있어서 ‘시’라는 의미를 뛰어넘어 정치적․사회적․외교적 측면에서 그 가치를 재조명 받아 반드시 익혀야 하는 경전인 『詩經』을 대상으로 선별하였다는 점, 그리고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는 『시경』 중에서 일부를 선별하였다는 점에서 『오경백편』의 편찬 목적과 선별 기준을 분석하기에 적합하다. 『오경백편』 「시」 수록 작품의 내용을 분석해보면, 먼저 「風」 160편 중 21편, 「雅」 105편 중 36편, 「頌」 40편 중 10편을 수록하여, 각각 13.1%, 34.3%, 25%의 비율을 보인다. 수록된 「풍」 21편의 내용은 주로 天子와 后妃의 덕을 찬미하는 내용, 어진 임금을 찬미하는 내용, 잘못된 정사를 풍자하는 내용과 의로써 군대를 일으키는 내용, 백성들의 농사일에 대해 노래한 내용, 병사들의 노고를 표현하고 주공과 성왕의 행적에 대해 서술한 내용 등이다. 「아」 36편은 연회자리에서 불리는 대표적인 시, 벗과 이웃 사이의 우정을 노래한 시, 전쟁에서 돌아온 병사들을 위로하는 시, 公卿大夫가 농사에 힘써서 종묘 제사를 받드는 과정을 서술한 시를 비롯하여 훌륭한 정사를 펼친 聖王들의 행적에 대해 노래한 시를 수록하였다. 「송」 10편은 성왕의 출생과 업적 및 말씀을 상세하게 서술하거나 나라를 다스리는 데에 살펴야할 덕목을 서술하여 역사적, 교훈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시를 수록하였다. 이를 ‘人倫’, ‘愛情’, ‘讚美’, ‘行蹟’, ‘諷刺’, ‘儀禮’ 등 6가지 주제로 분류해보면 ‘행적’ 주제의 작품이 27수로 40%를 차지하며 가장 많이 수록되었고, 그 다음으로 ‘인륜’, ‘의례’ 항목 순으로 그 수가 많았다. 여기에서 정조가 『오경백편』을 통해 성왕, 현인의 모범적인 모습을 제시하여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귀감으로 삼을 수 있게 하려는 교육적 의도와, 夏․殷․周 삼대시절의 성왕과 자신을 동일시하고자 한 정치적 의도를 지니고 있었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한편 수록된 작품들은 중요한 공통점이 있었는데, 다른 경서에서 직접 인용되었거나 널리 쓰이는 고사의 원전이 되는 작품이라는 점이다. 그 인용 양상을 분석한 결과, 문장의 형용을 목적으로 다양한 범위의 문체에서 폭 넓게 인용된 경우, 문장의 품격을 높이고 일반 문장과 차별화를 꾀하기 위해 인용된 경우, 유가의 학자가 자신의 주장을 개진할 때에 근거로 삼기 위해 인용된 경우, 유가의 성현으로 받들어지는 여러 인물들의 구체적인 행적을 서술하고자 인용된 경우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정조가 『오경백편』 「시」에 적용한 작품 선별 기준을 추측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범적인 인륜상인 삼강오륜을 묘사하여 읽는 이를 교화시킬 수 있는 작품을 선별하였다. 둘째, 성왕의 행적을 서술하여 정조의 정치적 이상향을 제시하는 작품을 선별하였다. 셋째, 유가에서 성현으로 제시하는 인물의 행적을 서술한 작품을 수록하였다. 넷째, 경서에서 인용된 표현이나 문장의 형용을 위해 상투적으로 쓰이는 고사를 갖추고 있는 작품을 수록하였다. 즉, 정조는 오경 중에서 중요한 부분만을 뽑아 노년에 반복하여 읽기에 편하게 하고자 『오경백편』을 편찬하였다고 표명하였으나, 『오경백편』에는 탕평정치를 위한 君師論을 제시하고 올바른 문장을 학습케 하여 문체를 바로잡고자 하는 정치적․문화적 의도가 분명히 발현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Liberal Arts >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