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中華民國 標準字體 評述-국내 출판물에 쓰이는 漢字字形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Authors
김준수[김준수]이소화[이소화]
Issue Date
2016
Publisher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Keywords
Ziyangxue; Modern Chinese Grammatology; Standard Form of Chinese Characters; Standard Form of National Characters; 字樣學; 현대한자학; 표준자형; 대만 標準字體; 字樣學; 現代漢字學; 標準字形; 臺灣標準字體
Citation
漢字漢文敎育, v.1, no.39, pp.39 - 70
Indexed
KCI
Journal Title
漢字漢文敎育
Volume
1
Number
39
Start Page
39
End Page
7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40874
DOI
10.15670/HACE.2016.39.1.39
ISSN
1598-1363
Abstract
대만의 標準字體는 전통을 존중하면서 字源 및 한자의 체계성을 두루 고려하여 제정된 것으로 우리의 표준자형 선정 작업에 있어서 倣效할 만한 바가 적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1973년 이후 대만에서 진행된 한자자형 정리 및 標準字體 제정 과정 중 중요한 사항에 대하여 간략히 소개하고, 대만의 標準字體가 어떠한 원칙에 근거하여 제정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대만 標準字體 중에서 국내 출판물에 쓰이는 한자자형과 다른 字例를 획순에 따라 열거하고, 그 중에서 우리가 참고로 삼을 만한 字例를 셋으로 나누어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 번째 ‘字源을 고려하여 제정된 字例’에서는 衆·聚·毁·覇·絶·秘·者 7개 글자의 자형 문제를 다루었고, 두 번째 ‘體系性을 고려하여 제정된 字例’에서는 隣·氷·延·肝(肉旁)·恒·聖(旁)·舌(旁)·勇·添·風·窓·豊·汚 13개 글자의 자형 문제를 다루었다. 세 번째 ‘書寫體와의 一致性을 고려하여 제정된 字例’에서는 氵·冫·辶·食·豕·爪·匸旁 및 北·幸·比·牙·曷·卬·免·龜字의 활자체 문제를 다루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