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판 시각-운동 통합 검사 6판(VMI-6)의 구인 타당도: 지적 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 및 ADHD 아동을 대상으로

Authors
황순택[황순택]김지혜[김지혜]한혜련[한혜련]홍상황[홍상황]
Issue Date
2016
Publisher
한국임상심리학회
Keywords
VMI-6; construct validity; intellectual disability; autism spectrum disorder; ADHD; clinical utility; VMI-6; 구인타당도; 지적 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 ADHD; 임상적 유용성
Citation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35, no.1, pp.81 - 99
Indexed
KCI
Journal Titl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ume
35
Number
1
Start Page
81
End Page
9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41478
ISSN
1229-0335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판 시각-운동 통합 검사(VMI-6)의 구인타당도와 임상적 유용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자폐스펙트럼장애, 지적 장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를 진단받은 만 6세에서 16세까지의 아동․청소년 91명과 일반아동 91명, 총 182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시각-운동 통합 검사(VMI-6)와 한국판 웩슬러 아동지능검사 제 4판(K-WISC-IV)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 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 ADHD 집단에서 VMI-6 시각-운동 통합 검사, 시지각 보충검사, 운동협응 보충검사와 K-WISC-IV의 10개의 주요 소검사들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특히 VMI-6의 세 소검사는 K-WISC-IV의 전체 IQ(FSIQ), 지각추론지표, 작업기억지표, 토막짜기 소검사, 행렬 추리 소검사, 숫자 소검사와 강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VMI-6의 시각-운동 통합 검사, 시지각 보충검사, 운동협응 보충검사에서 정상 집단이 세 장애 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보여 VMI-6 수행에 따라 각 장애 집단과 정상 집단을 변별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VMI-6는 이 검사가 측정하고자 하는 구성개념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판단되며, 선행 연구들에서 시사된 것처럼 지적 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 ADHD 아동의 신경학적 결함을 변별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Medicine > Department of Medicin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