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조선후기 分韻詩選에 대하여On the Selected Poetry Composed of Dividing Rhymes

Other Titles
On the Selected Poetry Composed of Dividing Rhymes
Authors
이현일[이현일]
Issue Date
2015
Publisher
우리한문학회
Keywords
分韻詩選; 『杜律分韻』; 『陸律分韻』; 七言律詩; 『東律分韻』; 分韻詩選; Collected Code Verse of Du Fu Composed of Dividing Rhymes(杜律分韻); Collected Code Verse of Lu You Composed of Dividing Rhymes(陸律分韻); Selected Code Verse of the Nation of the East Composed of Dividing Rhymes(東律分韻); Seven-Syllabic Code Verse(七言律詩)
Citation
漢文學報, v.32, no.1, pp.147 - 170
Journal Title
漢文學報
Volume
32
Number
1
Start Page
147
End Page
17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45179
ISSN
1229-4136
Abstract
이 글에서 다루는 ‘分韻詩選’은 ‘韻目에 따라 작품을 배열한 詩選’을 가리킨다. 이러한 성격의 시선집은 필사본이 주류이며, 대체로 正祖의 命으로 간행된 『杜律分韻』과 『陸律分韻』의 영향으로 엮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이 글은 分韻詩選에 대한 첫 연구로서 우선 여러 도서관과 개인에게 소장된 分韻詩選의 槪況을 조사하고, 그 성격에 따라서 중국 역대 시인들의 시를 分韻해 놓은 책, 중국 개별 시인의 시를 分韻해 놓은 책, 우리나라 여러 시인의 시를 分韻해 놓은 책, 우리나라 개별 시인의 시를 分韻해 놓은 책으로 분류하여 표로 정리하였다. 이어서 이러한 성격의 시선집들이 정조대 이후 유행한 것은 당대인들로부터 실제 창작에 도움이 되는 독본과 공구서로서 그 유용성을 인정받았기 때문이며, 이러한 성격의 시선집들은 한시 창작, 그 중에서도 칠언율시 창작의 열기가 점차 밑으로 확산되어 가는 시기의 모습을 반영하고 있다고 추정하였다. 또 한시 창작 계층이 확대되고 한시 작품들이 수량적으로 풍부해지는 시대의 분위기를 엿볼 수 있는 자료일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붙임]에는 『東律分韻』(全代) 수록작품의 用韻 양상과 『東律分韻』(三淵․柳下)에 수록된 金昌翕 七言律詩의 用韻 양상을 정리하여 일람표로 제공하여 우리 한시의 用韻 양상을 조사하는 하나의 자료로 제공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HYUN II photo

LEE, HYUN II
Education (Education in Classical Chines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