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강아지형 스마트 토이 놀이가유아의 스토리텔링에 근거한 그림 표상활동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s of Smart-Stuffed Animal Play on Kindergartner's Drawings based on Storytelling

Other Titles
The Effects of Smart-Stuffed Animal Play on Kindergartner's Drawings based on Storytelling
Authors
현은자[현은자]윤현민[윤현민]이신애[이신애]
Issue Date
2015
Publisher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Keywords
스마트 토이; 스마트 동물형 토이; 스토리텔링; 서사구조; 그림 표상; 개; smart toy; smart-stuffed animal; storytelling; narrative structure; drawing; dog
Citation
어린이미디어연구, v.14, no.3, pp.1 - 21
Indexed
KCI
Journal Title
어린이미디어연구
Volume
14
Number
3
Start Page
1
End Page
2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45294
ISSN
1738-0286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와 강아지형 스마트 토이와의 놀이 활동이 유아-스마트 토이 상호작용 이전과 이후에 유아의 ‘개’에 대한 스토리텔링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유치원 만5세 유아 26명을 대상으로 총 8회, 각 3분 정도 유아-강아지형 스마트 토이, 비스킷’과 놀이를 하기 전과 후 두 번에 걸쳐 ‘개’에 대한 그림을 그리도록 한 후 그림 내용에 대해 일대일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후 유아의 그림과 면담 내용을 바탕으로 ‘개’에 대한 유아의 스토리텔링 서사분석, 등장인물, 시간배경, 공간 배경을 분석해 사전과 사후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사전에는 과거 현실에서 유아가 과거, 현실 공간에서 경험한 사실에 근거한 경험, 비유 서사가 주를 이루었고, 사후에는 가상의 시공간에서 개나 다른 동물이 중심이 된 플롯형 서사가 많이 나타나고 유아가 ‘개’의 감정에 공감하는 서사가 새롭게 나타났다. 즉, 강아지형 스마트 토이 놀이 활동이 유아의 ‘개’에 대한 스토리텔링을 확장시켜 주며, 동물에 대한 감정이입도 증가시켜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스마트 토이를 활용한 놀이에 대한 연구의 기초를 제공하고 이를 구매하는 부모나 교사에게는 교육적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Child Psychology and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