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국내 재난관리 분야의 빅 데이터 활용 정책방안open access

Authors
김용문[김용문]신동희[신동희]
Issue Date
2015
Publisher
한국콘텐츠학회
Keywords
Disaster Management; Smart Big Board; Big Data; The role of Public and Private sector; The Utilization of Policy; 재난관리; 스마트 빅 보드; 빅 데이터; 공공 및 민간부문의 역할; 활용 정책
Citation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v.15, no.2, pp.377 - 392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Volume
15
Number
2
Start Page
377
End Page
39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46109
DOI
10.5392/JKCA.2015.15.02.377
ISSN
1598-4877
Abstract
최근 들어 빅 데이터의 영향력이 증가하면서 데이터 중심의 사회로 급변하고 있다. 동시에 데이터의 수집, 관리 및 활용의 문제가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더욱이 빅 데이터는 가공과 분석에 따라 상황인식, 의사결정, 그리고 미래 예측을 가능하게 하는 영역까지 확대되고 있다. 심지어 재난관리에 있어서도 민간 및 공공 영역에서 만들어지는 엄청난 양의 정형 및 비정형 데이터들을 의미 있는 정보로 가공해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실효성 있는 재난관리를 위해 공공과 민간 데이터가 동시에 연계 분석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와 사례 연구 통해 국가 재난관리를 위한 효율적인 빅 데이터 활용 정책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재난관리의 빅 데이터 활용 촉진 방안에 대한 공공 및 민간 부문의 역할을 각각 도출하였다. 공공과 민간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과제는 재난관련 빅 데이터의 공개 및 공유, 기술 및 인프라의 확충, 법 및 제도적 정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한 재난 정보전달 시스템의 구축, 빅 데이터 전문 인력의 양성으로 나타났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 Interaction Scienc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