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근대 잡지에 수록된 전통 시가의 존재와 그 의미- 신생 을 중심으로

Authors
정인숙[정인숙]
Issue Date
2015
Publisher
반교어문학회
Keywords
The New Life; a magazine in modern period; classic; cultivation; traditional poetry; Lee Eun-sang; Yulgok; Gosan-gugokga; Nongga-wollyongga; 신생; 근대 잡지; 고전; 수양; 전통 시가; 이은상; 율곡; 고산구곡가; 농가월령가
Citation
반교어문연구, no.39, pp.63 - 100
Indexed
KCI
Journal Title
반교어문연구
Number
39
Start Page
63
End Page
10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46139
ISSN
1598-2734
Abstract
신생 은 1928년에서 1934년까지 간행된 기독교계 종합월간지로 종교, 철학, 과학, 보건, 역사, 농업, 교육, 문예 등 다양한 분야의 읽을거리를 제공한 교양지였다. 특히 한시, 전설, 민요를 포함하여 시조, 가사 등 전통 시가를 다양하게 소개한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이 글은 근대 잡지 신생 에 수록된 전통 시가의 현황을 살펴보고 전통 시가가 배치되는 구체적인 양상을 검토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나아가 전통 시가가 수록된 배경을 살펴보고 근대의 고전 활용의 의미와 전통 시가 전승의 향방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신생 에 나타난 전통 시가의 존재 양상을 살펴보면 첫째, 계절이나 특정 시기를 고려하여 고시조를 배치하고 지면 구성을 다양하게 한 점을 들 수 있다. 봄, 여름, 가을 등 계절에 어울리는 작품이나 어머니날 또는 칠월 칠석 등과 같은 특정 시기를 고려한 작품이 배치된 예를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는 ‘고시조’라는 제목 아래 작품이 배치되는 경우도 있으나 특정 표지 없이 지면의 내용 구성에 따라 자연스럽게 배치된 경우도 있다. 둘째, 율곡 이이의 연시조 <고산구곡가>가 반복 배치되어 있고 율곡 이이가 높이 평가되어 있는 점이다. <고산구곡가>는 16세기 사림파 문인의 정신세계를 고스란히 담은, 주자의 도통을 잇는 상징적인 작품으로, 최남선의 소년 이나 청춘 에서는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사정을 감안할 때 신생 에서 각별한 관심을 받았던 점은 자못 흥미롭다. 셋째, 가사 <농가월령가>가 시기에 따라 분할 배치되어 있고 농민생활에 대한 관심이 드러나 있는 점이다. 당시 시조가 국민문학으로 부각된 데 비해 가사는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상황에서 신생 에 <농가월령가>의 8월령, 9월령, 정월령이 소개되어 있는 점은 무척 특이하다. 이들 월령이 선택된 것은 음력으로 8월에는 한가위, 9월에는 9월 9일 중양절, 정월에는 초하루 및 대보름이라는 중요한 명절과 절기가 있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한 <농가월령가>가 선택된 데는 신생 이란 잡지가 농민의 삶이나 농민문예 등에 상당한 관심을 가졌던 점과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신생 은 각 방면으로 원만하고 건전한 인격을 수양하기 위한 ‘수양독본’을 지향했고 이를 위해 다방면의 읽을거리를 제공하고자 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조선을 알아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전통 시가와 전설, 민요 등 우리(조선) 문학에 대한 관심이 두드러졌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특징은 특히 이은상이 편집장으로 있던 시기에 집중적으로 드러나는데, 여기에는 일정정도 그의 문학적 안목과 소양이 반영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계절이나 팔월 한가위, 칠월 칠석과 같은 세시풍속이나 민속 등을 고려하여 작품을 적절히 배치한 덕분에 독자들은 ‘옛 것’에 대한 거부감 없이 자연스럽게 읽고 감상할 수 있었으리라 짐작된다. 신생 은 조선 청년을 위한 수양독본을 지향함에 있어 고전을 적극 활용했던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Liberal Art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EONG, IN SOOK photo

JEONG, IN SOOK
Liberal Arts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