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노동력의 이주속도 및 인구밀도의 변화가지역의 집적경제에 미치는 영향: 중국의 경우

Authors
심운죽[심운죽]김호연[김호연]
Issue Date
2015
Publisher
한국동북아경제학회
Keywords
이주속도; 인구밀도; 호구제도; 집적경제; 루이스전환점; migration velocity; population density; hukou system; agglomeration economies; Lewisian turning point
Citation
동북아경제연구, v.27, no.4, pp.133 - 161
Indexed
KCI
Journal Title
동북아경제연구
Volume
27
Number
4
Start Page
133
End Page
16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46201
ISSN
1225-4363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1997∼2012년 기간중 중국의 성별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이주의 속도 및 인구밀도의 변화가 집적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추가로지역의 특정효과 및 경제성장의 전환점에 대하여도 고찰해보았다. 분석 결과 이주속도와 경제성장간 정(+)의 상관관계가 확인되었으며, 이로부터 빠른 속도의이주가 전출지에서의 집적불경제의 효과를 완화하면서 전입지의 집적경제를 향상시킨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도시의 인구밀도에 대한 분석 결과 집적의 효과는 부(-)의 관계로 나타났으며, 집적의 경제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인구 이동을 활성화함과 동시에 도시의 시가화 정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지역 특정효과의 분석에 따르면 연안지역 및 서부지역에 비해 중부에서 유동인구의 이주가 지역 발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과 많은 인구의 수용으로 인해 혼잡 효과가 상당히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지역간균형발전을 위해서는 중부지역에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중국이 루이스 전환점을 통과했다는 가설에 대한 검정결과는 부정적으로나타나 향후에도 농촌 노동력의 이주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conomics > Department of Economic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HO YEON photo

KIM, HO YEON
Economics (Economics)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