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스마트폰 이용 소비자의 유형화 및 소비자 효용․비효용 결정요인 분석

Authors
최아영[최아영]나종연[나종연]
Issue Date
2015
Publisher
한국소비자학회
Keywords
smartphone; smart-tech; consumer utility; disutility; 스마트폰; 스마트기술; 소비자 효용; 비효용
Citation
소비자학연구, v.25, no.3, pp.163 - 186
Indexed
KCI
Journal Title
소비자학연구
Volume
25
Number
3
Start Page
163
End Page
18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46584
ISSN
1226-282X
Abstract
소비의 본질은 재화나 서비스의 구매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구매하고 사용함으로써 얻게 되는 효용과 관련이 있다. 이는 경험적 맥락 속에서 결정되는데 소비자가 만족스러울 때에는 효용으로, 반면에 소비자가 해당 재화와 서비스를 소비한 결과를 부정적으로 인식할 때에는 비효용으로 발현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의 사용경험 으로부터 소비자들의 활용수준의 차이를 파악하는지 살펴보고, 소비자들의 효용과 비효용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이며 그 영향력은 어떠한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재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소비자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우선 스마트폰 사용경험에서 활용수준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스마트폰 사용의 다양성과 사용량을 기준으로 소비자를 네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소비자의 스마트폰 활용행동의 차별성을 대변하는 이 네 유형과 함께 기술에 대한 지각된 통제감과 기술 관련 태도, 그리고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스마트폰 효용 및 비효용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설정한 회귀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성별과 연령, 학력 등 사회인구학적 특성, 스마트폰 활용행동 유형, 통제감, 기술 낙관성, 기술 혁신성, 기술 불편감, 기술 불안감 등 기술 관련 태도에 따라 스마트폰에 대한 효용과 비효용의 인식이 달라짐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하여 기술제품을 사용하면서 소비자는 효용을 누리기도 하지만, 상실감이나 두려움 등을 비롯한 부정적 감정, 손실 등과 같이 효용과 대치되는 개념인 비효용을 인식하기도 함이 실증되었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IoT를 비롯한 스마트기술이 대중화될 가까운 미래에 앞서, 이미 대중화된 스마트폰을 대상으로 소비자의 효용과 비효용을 파악하여 기술발전의 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기술개발 등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여 소비자에게 최적의 기술을 개발하고 상용화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Business >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