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문학에 나타난 이의 형상화 양태와 그 인식

Authors
김영주[김영주]
Issue Date
2015
Publisher
동방한문학회
Keywords
이; 숙주; 기생곤충; 인간중심; 소인; 효친; 존양성찰; 초연; 처세.; lice; host; parasite insect; anthropocentricity; a man of small character; filial duty self-discipline; self-examination; rising above the world.
Citation
동방한문학, no.63, pp.117 - 148
Indexed
KCI
Journal Title
동방한문학
Number
63
Start Page
117
End Page
14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47259
ISSN
1226-668X
Abstract
각 시대의 문인들은 ‘이’라는 독특한 소재를 활용하여 사물에 대한 각자의 사물에 대한 인식과 학문사상적 특징 또는 정치적 관점 등을 구체화 하였다. 고려시대의 이규보를 비롯하여 조선시대의 成俔, 金淨, 李眞望, 金止男 등은 宿主와 寄生昆蟲의 관계 또는 이의 생물학적 특징들을 문학적으로 형상하며 객관적인 사실에 근거한 독특한 미적 경계를 형성하였다. 이색의 경우는 人性과 物性에 대한 차별적 사고를 바탕으로 이와 벼룩 등의 동물을 대상으로 한 작품에서 인간중심주의적인 견해를 표출하였다. 조선시대의 李眞望이나 郭說 등은 이를 군주에게 순종하며 아첨하는 소인과 모리배 등으로 형상하며 시대의 정치 상황을 문학과 결부하여 묘사하는 태도를 나타냈다. 이 외에 金淨은 이를 활용하여 중세의 대표적인 도덕관념인 ‘孝親’의 문제를 다루었다. 李滉을 사숙한 金萬英과 李惟樟 등은 ‘居敬’을 중심으로 하는 17세기 수양론의 한 특징을 이를 매개로 활용하여 문학적으로 형상하였다. 李荇과 趙亨道 등은 연산군 집권기와 임란 이후라는 정치사회적으로 혼란한 현실에서 벗어나 초연한 자세로 삶을 견지하려는 자신들의 바람을 문학적으로 형상하였다. 한문학에서 생소하게 다루어진 ‘이’ 소재를 활용한 작품의 고찰을 통하여 시대 사회적 분위기가 반영된 작가의식의 문학적 형상화의 일단을 고찰할 수 있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YOUNG JU photo

KIM, YOUNG JU
Education (Education in Classical Chines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