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브랜드 관계형성을 위한 큐레이션서비스 활용방안 연구A Study on Curation Services for Brand Relationships Utilization

Other Titles
A Study on Curation Services for Brand Relationships Utilization
Authors
김형모[김형모]
Issue Date
2014
Publisher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Keywords
빅데이터; 큐레이션 서비스; 브랜드 관계; 서브스크립션; 소셜큐레이션; 서비스 디자인; Big data; Curation Service; Brand Relationships; Subscription Services; Services Design
Citation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v.48, pp.111 - 124
Indexed
KCI
OTHER
Journal Title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Volume
48
Start Page
111
End Page
12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54681
ISSN
1976-1562
Abstract
현재 우리 환경은 IT융합기술과 인터넷, 모바일 플랫폼활용의 극대화와 더불어 소비자가 직접 콘텐츠를 생성하고 가공하는 2차적 디지털 정보 환경에 놓여있다. 이렇게 수많은 정보가 생성되는 빅데이터 환경 속에서 ‘큐레이션 서비스(Curation Service)’라는 새로운 비즈니스 구조가 탄생되었다. 이는 수많은 빅데이터 환경 속에서 보다 빠르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소비자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정보의 필터링’이라는 가치를 앞세운 비즈니스 모델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대다수의 기업들은 ‘큐레이션 서비스’를 브랜드와 소비자간의 관계형성을 위한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하고자하나 차별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빅데이터 환경 속에서 급증하고 있는 ‘큐레이션 서비스’를 브랜드 관계형성을 위한 매개체 관점에서 그 역할을 규명하고자 했다. 따라서 큐레이션 서비스를 ‘소셜큐레이션 서비스’와 ‘서브스크립션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로 나누어 사례를 분석하고 소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특징에 따라 ‘전문가에 의한 필터링’과 ‘불특정 다수에 의한 필터링’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각각의 정보필터링에 대한 신뢰요소가 충성행동 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증연구를 통해 마케팅 수단으로써의 가치와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큐레이션 서비스’를 브랜드 관계형성의 중요한 전략적 수단으로 활용할 경우, 기업의 마케팅전략에 유연성을 확보하고 소비자에게 차별적인 가치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rt > Department of Desig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