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문화 다이아몬드(Cultural Diamond)’의 대안적 모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문화 엄브렐러(Cultural Umbrella)’ 모델을 중심으로An Exploratory Study on the Cultural Diamond’s Alternative Model - Focused on the Cultural Umbrella Model

Other Titles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ultural Diamond’s Alternative Model - Focused on the Cultural Umbrella Model
Authors
임성민[임성민]김재범[김재범]장혜미[장혜미]
Issue Date
2014
Publisher
한국예술경영학회
Keywords
cultural diamond; art world; distributor; mediator; cultural umbrella; 문화 다이아몬드; 예술계; 분배자; 매개자; 문화 엄브렐러
Citation
예술경영연구, no.29, pp.63 - 86
Indexed
KCI
OTHER
Journal Title
예술경영연구
Number
29
Start Page
63
End Page
8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54856
ISSN
1598-3870
Abstract
웬디 그리스올드(Wendy Griswold)는 ‘문화 다이아몬드(Cultural Diamond) 모델’을 통하여 예술과 사회 간의 관계에 대하여 기존의 관점을 넘어, 보다 포괄적인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문화 다이아몬드 모델에 의하면 예술은 예술가 혹은 예술가 집단에 의해 창조 되는 것이며, 사회에 대한 예술의 영향은 사회 구성원인 개인에 의해 매개된다. 그러나 다이아몬드 모델은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빅토리아 알렉산더(Victoria D. Alexander)에 의하면 그리스올드의 문화 다이아몬드 모델은 창작자,예술, 소비자, 사회의 지점이 예술을 사회학적으로 이해하는데 중요하며 그 사이에어떠한 관계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나,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지 못하다. 상기한 비판을 바탕으로 알렉산더는 기존 다이아몬드 모델에서 예술적 창조와함께 일률적으로 다루고 있던 분배(distributors)를 별도의 지점으로 분리시킨 ‘보완된 문화 다이아몬드(Modified Cultural Diamond) 모델’을 제시한다. 보완된 다이아몬드 모델에서 예술은 하나의 의사소통으로서, 창작자로부터 나와 소비자에게 전달되어야 하며, 이 과정에서 예술은 “사람들, 조직, 혹은 네트워크에 의해 분배된다”는알렉산더의 관점이 반영되어있다. 그러나 보완된 다이아몬드 모델이 완벽한 모델은아니며 용어, 도식, 내용상에 걸쳐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상기한 문제점들을 보완하는 수정 모델로서 문화 엄브렐러(Cultural Umbrella) 모델을 제시한다. 문화 엄브렐러 모델에서는 기존 다이아몬드 모델들에서 간과 되어왔던 예술의 본질에 관한 문제가 매개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예술계(art world)’ 개념을 중심으로 반영되어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Business > Global Business Administr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