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가정 환경 요인과 다문화 밀집지역의 조절효과Moderating Role of Highly-Concentrated Multicultural Neighborhood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Family Factors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ther Titles
Moderating Role of Highly-Concentrated Multicultural Neighborhood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Family Factors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uthors
한윤선[한윤선]김부경[김부경]전수아[전수아]
Issue Date
2014
Publisher
한국청소년학회
Keywords
다문화 수용성; 다문화 밀집지역; 다문화 교육; 한국아동청소년패 널조사; multicultural acceptability; multicultural contact; multicultural education;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tudy
Citation
청소년학연구, v.21, no.12, pp.97 - 125
Indexed
KCI
Journal Title
청소년학연구
Volume
21
Number
12
Start Page
97
End Page
12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55837
ISSN
1229-6988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비(非) 다문화 청소년들의 다문화 수용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비 다문화 청소년들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요인을 알아보았다. 더불어 개인 및 가정 환경 요인이 다문화 수용성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다문화 가구가 밀집된 지역에 거주하는 것이(다문화 접촉 수준) 어떠한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 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데이터 중에서 초5와 중2 패널 제 2차 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아울러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자료와 통계청의 2010년 시·군·구 단위 행정자료의 지역코드를 일치시켜 개인단위 자료와 지역단위 자료를 병합하였다. 통계기법은 기술통계, Pearson의 상관분석, 다층선형회귀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성별, 연령 그리고 부모의 학력이 다문화 수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밀집지역 거주 여부는 성별과 다문화 수용성의 관계에 있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비 다문화 학생들의 다문화 수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문화 교육의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Child Psychology and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