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미디어 환경과 사용에 대한 부모의 심성모형 연구A Study on Parents’ Mental Model of Media Environment and Children’s Media Use

Other Titles
A Study on Parents’ Mental Model of Media Environment and Children’s Media Use
Authors
이란[이란]홍지민[홍지민]
Issue Date
2014
Publisher
한국콘텐츠학회
Keywords
Media Mental Model; Media Environment; Children’s Media Use; Qualitative Study; 미디어 심성모형; 미디어 환경; 아동 미디어 사용; 질적 연구
Citation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v.14, no.12, pp.818 - 834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Volume
14
Number
12
Start Page
818
End Page
83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55993
DOI
10.5392/JKCA.2014.14.12.818
ISSN
1598-4877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 환경과 자녀들의 미디어 사용에 대한 부모의 심성모형을 분석하여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부모들의 미디어에 대한 현상적 인식이 아동의 미디어 사용을 중재하고 바른 사용을 지도하는 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 위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12명의 초등 2-4학년 연령대 아동을 키우는 부모들과의 인터뷰, 연상 단어 제시하기, 문장 완성하기의 세 가지 활동을 통하여 내러티브 자료가 수집되고 연구자 2인에 의해 질적으로 분석되었다. 그 결과, 먼저 미디어 환경에 대하여서는 소통과 단절, 공급과 역기능 등의 총 8개 심성모형 구성요소가 추출되었다. 아동의 미디어 사용에 대한 심성모형에서는 첫째, 부모들은 미디어에 유능함의 표상을 투영하지만 자신의 삶과는 괴리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부모들은 미디어에 대한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효과를 양면적으로 인식하고 이 중 부정적인 효과를 통제하고자 하는 이해를 드러냈다. 셋째, 디지털 미디어는 부모들에게 관계의 표상으로써 이해되고 있었다. 넷째, 미디어 사용과 관련한 소통의 방식이 다양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부모들이 미디어를 개인의 사용 영역일 뿐만 아니라 사회 체계의 일부분이라고 이해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발견들을 토대로 미디어의 관점들(Meyrowitz, 1999)이 부모들의 심성모형에 다층적으로 반영되어 있다는 사실이 논의되었고 그 교육적 적용으로써 부모와 사회체계의 협력적 교육, 부모의 미디어 인식과 역량 강화, 커뮤니케이션의 순기능 활용 등이 제안되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Child Psychology and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