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박세당의 『南華經註解刪補』 저술 의의 究明 - 주자와 박세당의 장자 인식 비교를 통해서A Study on the Significance of Park Se-dang’s Composition of the Namhwagyeong Joohaesanbo (南華經註解刪補)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ignificance of Park Se-dang’s Composition of the Namhwagyeong Joohaesanbo (南華經註解刪補)
Authors
전현미[전현미]
Issue Date
2014
Publisher
한국철학사연구회
Keywords
박세당; 『남화경주해산보』; 장자; 주자; 이단; 사문난적; Park Se-dang; Namhwagyeong Joohaesanbo(南華經註解刪補); Zhuangzi; Zhu Xi; heresy of Confucianism; disturbing enemy of the Confucian canon(斯文亂賊)
Citation
한국철학논집, no.42, pp.71 - 103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철학논집
Number
42
Start Page
71
End Page
10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56008
ISSN
1598-5024
Abstract
박세당(1629∼1703)은 조선시대에 유일하게 『장자』 전편을 주석한 『남화경주해산보』를 저술하고, 말년에는 斯文亂賊으로 지탄받던 인물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조선시대에 주류사상이던 주자학의 집대성자인 주자(1130∼1200)와 박세당의 장자 인식의 비교를 통해 17세기 조선에서 『남화경주해산보』 저술이 가지는 의의를 究明하는 데 있다. 조선시대에는 주자학이 정통 교학으로서 부동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으므로 老莊을 비롯한 여타의 사상은 주자학과의 관계 속에서 논의되어야만 한다. 박세당의 장자 인식은 주자의 장자 인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남화경주해산보』 저술은 주자의 장자 인식을 계승하여 적극적으로 심화시켰다고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노론 측에서 사문난적으로 비판할 때에도 『신주도덕경』과 『남화경주해산보』은 언급되지 않은 것이다. 그러나 또 다른 한편으로는 주자학에서 벗어나려는, 즉 탈주자학적 시도이다. 박세당은 장자가 유가와 대척점에 있다고 보지 않는다. 『남화경주해산보』를 통해서 첫째, 장자가 세상에 대해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현실을 냉철하게 직시하였음을 강조하고, 둘째, 父子와 君臣 간의 人倫 관계를 중시했음을 증명하여 유가사상과 상통점을 찾고, 셋째, 장자의 人性論을 새롭게 조명하여 유가 인성론을 재정립하고, 넷째, 장자사상을 응용하여 分黨과 禮訟論爭 등 소모적인 政爭에서 벗어나려고 한다. 박세당이 『신주도덕경』과 『남화경주해산보』를 저술하지만, 이는 補儒의 일환이고 본령은 유학이다. 그가 탈피하고자 한 것은 주자학의 절대화였지 유학 자체는 아니다. 주자학이 정통 교학이자 지배 이념으로 절대화되고 교조화되던 17세기의 조선에서 박세당의 『남화경주해산보』 저술은 매우 혁신적인 시도로서, 박세당이 주자학에서 벗어나 탈주자학의 선구자로서 정통 주자학자들과 지향점을 달리하여 독자적이고 진보적인 학문 세계를 구축하였음을 보여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Liberal Arts > Department of Philosoph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