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소득-순가치(Income-Net Worth) 개념을 활용한 노인빈곤의 재고찰A Study on the Elderly Poverty by Using the Concept of “Income-Net Worth”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lderly Poverty by Using the Concept of “Income-Net Worth”
Authors
정지운[정지운]김주현[김주현]
Issue Date
2014
Publisher
한국노년학회
Keywords
Measures of the economic status; Elderly poverty; Income-Net Worth; 노인빈곤; 빈곤측정; 소득-순가치
Citation
한국노년학, v.34, no.3, pp.595 - 611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노년학
Volume
34
Number
3
Start Page
595
End Page
61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56148
ISSN
1225-1356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가구의 경제적 상태를 현재의 소득만으로 파악한다면 상당한 편의가 발생한다는 점을 연구문제로 제기한다. 이를 위해서 소득-순가치(Income-Net Worth) 개념을 차용하여 빈곤율과 빈곤갭을 측정하고, 이를 소득빈곤과 비교한다. 더불어 가구주 연령집단별 소득과 소득-순가치로 정의한 빈곤율의 차이와 전체빈곤에 대한 절대적․상대적 기여도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빈곤의 결정요인을 추정하고, 연령별․성별 빈곤확률(한계효과) 제시한다. 「2012 가계금융복지조사」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소득만으로 빈곤을 정의할 경우 중‧고령가구의 빈곤위험을 높게 평가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득빈곤의 한계적 위험은 가구주 연령증가에 따른 증대되는 U자 형태로 나타나는데 반해 소득-순가치로 빈곤을 정의하는 경우 소득빈곤에 비해 그 형태가 상당히 완화될 뿐 아니라 절대적 수준도 낮게 나타났다. 이는 노인의 경제적 상태 또는 빈곤을 평가할 때 소득과 더불어 자산을 적절하게 고려해야만 그들이 처한 현실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적절한 정책대응을 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conomics > Department of Economics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