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유아의 귀인오류가유아의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The Influence of Mothers' Emotion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Attributional Biases on Children's Aggressive Behavior : Gender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Mothers' Emotion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Attributional Biases on Children's Aggressive Behavior : Gender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Authors
송하나[송하나]박서연[박서연]
Issue Date
2014
Publisher
한국보육지원학회
Keywords
emotion expressiveness; attributional biases; aggressive behavior; gender difference; 정서 표현성; 귀인오류; 공격행동; 유아의 성
Citation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10, no.1, pp.27 - 42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ume
10
Number
1
Start Page
27
End Page
4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56251
DOI
10.14698/jkcce.2014.10.1.027
ISSN
1738-9496
Abstract
본 연구는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유아의 귀인오류가 유아의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러한 관계가 유아의 성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6세 남아 46명과 여아 40명(총 86명)의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였다.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은 자기 보고식 설문으로 측정되었으며, 유아의 귀인오류는 이야기를 사용한 인터뷰로 측정 되었다. 또한 유아의 공격행동은 Crick등이 개발한 유아 공격행동 체크리스트를 교사가보고하여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유아의 관계적 귀인오류가 유아의 외현적 공격행동과 관계적 공격행동을 정적으로 유의하게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유아의 공격행동은 아무런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성에 따라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부적 정서 표현성이 여아의 관계적 공격행동을 부적으로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결과는 유아의 성에 따른 어머니 및 유아 변인이 유아의 공격 행동의 차이를 설명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Child Psychology and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ONG, HA NA photo

SONG, HA NA
Social Sciences (Child Psychology and Educ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