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변화양상과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 자본의 구성개념인 네트워크와 사회참여를 중심으로A Study on the Longitudinal Change Pattern and the Predictor Factor of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Focused on Social Capital including network and social participation

Other Titles
A Study on the Longitudinal Change Pattern and the Predictor Factor of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Focused on Social Capital including network and social participation
Authors
이계승[이계승]
Issue Date
2014
Publisher
한국사회복지연구회
Keywords
장애인; 삶의 만족도; 사회자본; 네트워크; 사회참여; 잠재성장모형; people with disabilities; life satisfaction; social capital; network; social participation;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Citation
사회복지연구, v.45, no.2, pp.375 - 402
Indexed
KCI
Journal Title
사회복지연구
Volume
45
Number
2
Start Page
375
End Page
40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56399
ISSN
1598-3854
Abstract
이 연구는 장애와 그에 따른 부가적 실체(낙인, 편견, 차별,, 사회적 제약 등)들로 인해 낮은 삶의 만족도를 나타내는 장애인들의 삶의 만족도 변화양상을 종단적으로 살펴보고, 그에 대한 예측요인으로서 사회자본의 구성개념인 네트워크와 사회참여의 영향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차~5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해, 3206명을 대상으로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는 시간이 흐를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초기 높은 삶의 만족도를 나타낸 장애인의 경우 시간이 흐를수록 완만하게 감소하고, 낮은 삶의 만족도를 나타낸 장애인의 경우 가파르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네트워크와 사회참여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네트워크는 삶의 만족도 초기 값에 정적인 영향을, 변화율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사회참여는 삶의 만족도 초기 값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변화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개입방안과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