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문학사 서술의 경과 : 제도와 이념에의 결박과 성찰 ― 현대문학사 서술을 중심으로The Progress in Describing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 Trammel and Reflection of System and Ideology ― Focusing on Describing History of Modern Literature

Other Titles
The Progress in Describing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 Trammel and Reflection of System and Ideology ― Focusing on Describing History of Modern Literature
Authors
최병구[최병구]
Issue Date
2014
Publisher
민족문학사학회
Keywords
Im Hwa; Baek Cheol; Kim Yun-Sik; Kim Hyeon; ‘History of Korean New Literature’; ‘Main Currents of Thought in Cho-Seon New Literatur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cademism; ‘National History of Literature’; 임화; 백철; 김윤식; 김현; 『신문학사』; 『조선신문학사조사』; 『한국문학사』; 아카데미즘; 민족문학사
Citation
민족문학사연구, no.56, pp.9 - 40
Indexed
KCI
Journal Title
민족문학사연구
Number
56
Start Page
9
End Page
4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56722
ISSN
1227-0962
Abstract
이 논문은 식민지 시기부터 최근까지 대표적인 ‘현대문학사’ 몇 종을 민족문학과 아카데미즘의 시각에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신문학사』(1939), 『조선신문학사조사』(1948),『한국문학사』(1973), 『한국근대민족문학사』(1993), 『민족문학사 강좌』(2009), 『문학사 이후의 문학사』(2013)를 검토하였다. 주지하는바 그간 출간된 현대문학사는 민족문학사의 틀안에서 작업된 것이었다. 하지만 근대적 학술체계로서 문학사는 아카데미즘과 현실의 관계에 대한 사가의 인식에 따라 조금씩 다른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이에 따라 민족문학의 성격과 위상은 개별 문학사에서 차이를 갖게 된다. 서구적 보편과 조선적 특수의 관계에 대한 사유, 즉 비교문학적 시각은 문학사에 내재되어 시기별로 유동하는 특징을 보이는 것이다. 최근 10년 한국사회 전반의 변화 속에서 대학 인문학의 위상은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더 이상 문학사가 과거와 같은 위치를 차지할 수 없게 된 것이다. 향후 문학사 쓰기의 향방은 ‘국가-대학-국어국문학’이라는 문학사 쓰기의 전통적인 틀을 어떻게 새롭게 마련하느냐에 달려 있는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Liberal Art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