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劉在建의『古今詠物近體詩』編成 方式과그 特性Formation method and characteristics of『Gogeumyeongmulgeunchesi』by Yu Jae-Keun

Other Titles
Formation method and characteristics of『Gogeumyeongmulgeunchesi』by Yu Jae-Keun
Authors
한영규[한영규]
Issue Date
2014
Publisher
한국어문교육연구회
Keywords
劉在建; 奎章閣 書吏; 閭巷文學; 『古今詠物近體詩』; 『佩文齋詠物詩選』; Yoo Jae-Keon; Kyujanggak writer; 『Gogeumyeongmulgeunchesi』; 『Peiwenzhaiyongwushixuan』
Citation
어문연구(語文硏究), v.42, no.3, pp.259 - 282
Indexed
KCI
Journal Title
어문연구(語文硏究)
Volume
42
Number
3
Start Page
259
End Page
28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skku/handle/2021.sw.skku/56820
ISSN
1229-1617
Abstract
이 論文은 劉在建(1793∼1880)이 1861년 완성한 『古今詠物近體詩』를 집중 분석하여, 그 編成 方式과 特性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동안『古今詠物近體詩』는 中國과 新羅․高麗․朝鮮의 역대 영물시를 非體系的으로 모아 놓았다고 이해되어 왔으나, 최근 康熙 年間의 官撰書『佩文齋詠物詩選』의 體裁를 借用한 것으로 해명되었다. 유재건은 『패문재영물시선』을 援用하되 세 가치 次元에서 의미있는 變容을 시도하였다. 첫째, 『고금영물근체시』는 『패문재영물시선』의 시 분류방식은 그대로 차용했으나, 자신의 기준에 따라 세부 편목을 조정하여 새로운 차원으로 再編하였다. 둘째, 『패문재영물시선』에 실린 중국 역대의 영물시를 자신의 판단에 따라 자유롭게 加減하고, 해당 항목에 신라․고려․조선의 시를 새로 뽑아 대거 補强해 놓았다. 셋째,『패문재영물시선』의 시를 取捨選擇하여 再構成하면서도, 본래 『패문재영물시선』에 실렸던 고려․조선의 시는 예외없이 『고금영물근체시』에 再收錄하였다. 유재건은 ‘古’와 ‘今’, ‘華’와 ‘東’에 속한 여러 영물시를 모아 균형을 맞춰가며 편집하려는 의도를 지녔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Liberal Art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AN, YOUNG GYU photo

HAN, YOUNG GYU
Liberal Arts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