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초기 등자의 발전

Authors
최병현
Issue Date
2014
Publisher
중앙문화재연구원
Keywords
Goguryeo southern campaign theory; Feng Sufu Tomb stirrup theory; short-necked stirrup; long-necked stirrup; Former Yan; Northern Yan; 고구려군 남정설; 馮素弗墓 등자설; 단병등자; 장병등자; 前燕; 北燕
Citation
중앙고고연구, no.14, pp.1 - 57
Journal Title
중앙고고연구
Number
14
Start Page
1
End Page
57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10433
ISSN
2233-6230
Abstract
중국 전연시기의 출현기 등자에서부터 고구려와 신라의 초기 등자를 살펴보면 단병등자와 장병등자는 서기 4세기부터 공존하면서 각각 발전하였음을 알 수 있다. 초기 단병등자의 발전과정은 중국이 아니라 한국의 신라・가야고분에서 볼 수 있다. 전연시기 장병등자는 고구려와 신라의 초기 장병등자로 이어져 발전하였다. 단병등자와 장병등자는 원래 제작방법과 계보의 차이여서 ‘고식등자’와 ‘신식등자’로 구분될 수 있는 것이 아니었으며, 그와 같은 구분은 처음부터 착각과 오류였다. 풍소불묘 등자설은 그러한 오류에서 출발하여 애초부터 근거가 없었고, 곧 그 허구도 드러났으나 학계의 일각에서는 고구려군 남정설을 유지하기 위한 방편으로 이를 이용하여 아예 고정관념으로 굳혀 놓았다. 그러다보니 현재 학계의 신라・가야 고고학자료 편년에는 일반적으로 약 50년 정도의 차이가 있고, 신라와 가야 고분의 연대도 마찬가지이다. 그러한 고정관념과 편견에서 벗어나 신라토기와 신라등자를 편년하면○ 경주 월성로 가-31호분 출토 왜계토기와 일본 고분시대 土師器 연대관에 의한 신라 조기양식토기의 연대○ 신라 전기양식토기 성립기의 연대○ 중국 前燕시기 安養 孝民屯墓 및 朝陽 袁台子墓의 연대와 신라등자의 출현 연대○ 일본 고분시대 초기須惠器 TG232 형식의 연륜연대○ 중국 동북지방 및 고구려의 고분과 마구 자료로 교차편년된 경주 황남대총 남분의 연대○ 일본 고분시대 초기須惠器 TK73 형식의 연륜연대○ 北燕 馮素弗墓의 연대○ 일본 新開고분과 七觀고분의 연대가 모두 정합성을 갖게 되어 한․중․일 고고학 자료의 발전 과정과 상호 영향 관계가 무리없이 이해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Histor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